1997년 6월 22일에 시행한 경찰직(순경:일반) 공무원 3차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다음 글과 관련이 없는 것은?
“장인님! 인젠 저……”
내가 늘 이렇게 뒤통수를 긁고, 나이가 찼으니 성례(成禮)를 시켜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하면 대답이 늘, “이 자식아, 성례구 뭐구 미처 자라야지!”하고 만다.
이 자라야 한다는 것은 내가 아니라 장차 내 아내가 될 점순이 키 말이다.
내가 여기에 와서 돈 한 푼 안 받고 일하기를 삼 년하고 꼬박이 일곱 달 동안을 했다. 그런데도 미처 못 자랐다니까 이 키는 언제야 자라는 겐지 짜장 영문 모른다.
갑. 농촌의 궁핍상 고발
을. 토속적 정감의 표현
병. 우직하고 순박한 인물의 등장
정. 희극적이고 과장된 상황 설정

봄봄:일제 치하의 궁핍한 농촌 현실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짙은 향토성과 해학, 풍자를 통해 현실을 따뜻하게 감싸 안고 있는 김유정의 단편 소설. 교활한 장인과 어리숙한 데릴사위 사이의 해학적 갈등상을 표현했으며, 1인칭 주인공 시점과 감각적․구어적인 토속어를 생생하게 사용한다.

 2.  다음 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폭포는 곧은 절벽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규정할 수 없는 물결이 무엇을 향하여 떨어진다는 / 의미도 없이
계절과 주야를 가리지 않고
고매한 정신처럼 쉴사이없이 떨어진다.
갑. 현실과의 타협을 거부한 서정적 자아의 의지가 드러나 있다.
을. 이 시의 작가는 참여적 경향이 강한 시를 썼으며, 서사시 ‘금강’을 남겼다.
병. 주지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을 표상하고 있다.
정. 첫 행의 ‘곧은 절벽’은 극단적인 상황을 표상하고 있다.

을:‘금강’은 신동엽 시인의 대표작이다.

폭포:부정적 사회 현실과 일상적 삶의 나태성에 대한 자각을 읊은 김수영의 주지시

 3.  아래의 글은 황순원의 소설 ‘학’의 결말 부분이다. 이 글을 통해서 알 수 없는 것은?
“어이 왜 맹추같이 게 섰는 거야? 어서 학이나 몰아 오너라.”
그제서야 덕재도 무엇을 깨달은 듯, 잡풀 새를 기기 시작했다. 때마침 단정학 두세 마리가 높푸른 가을 하늘에 큰 날개를 펴고 유유히 날고 있었다.
갑. 주제를 암시받을 수 있다.
을. 기술의 방법이 ‘보여주기(showing)’로 표현되었다.
병. 인물의 설정 방법이 간접적 제시로 되었다.
정. 시대의 배경을 알 수 있다.

정:황순원의 ‘학’의 배경은 1950년 가을 삼팔 접경 북쪽 마을로, 전쟁의 비극이 극에 달한 시공간을 바탕으로 하는데, 이러한 배경 제시는 소설의 발단 첫머리에 나타난다.

지문 풀이:도망가라는 성삼이의 암시를 깨달은 덕재가 달아나는 마지막 장면으로, 학의 비상은 자유와 인간성의 회복을 암시한다.

 4.  다음 중 맞춤법이 옳은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갑. 섯달-살어름-안밖
을. 법측-계시판-안팎
병. 섣달-게시판-안팎
정. 살어음-게시판-법측

살어름 ⇨ 살얼음, 법측 ⇨ 법칙, 섯달 ⇨ 섣달(설+달), 계시판 ⇨ 게시판, 안밖 ⇨ 안팎(안+밖)

 5.  우리 나라 시사상 유파의 발생 순서가 바르게 배열된 것은?
갑. 생명파-주지시파-낭만파-순수시파
을. 순수시파-청록파-낭만파-생명파
병. 주지시파-낭만파-청록파-예맹파(KAPF)
정. 낭만파-예맹파(KAPF)-순수시파-청록파

한국 현대시의 흐름

 6.  갑오개혁을 기점으로 하여 어떠한 현상이 일어났는가?
갑. 한문 소설이 많이 나와 대중화되었다.
을. 여성 해방 운동이 일어나 여류 작가가 많이 배출되었다.
병. 자연주의 소설이 등장하였다.
정. 언문 일치 운동이 일어나 문학의 표현 방법이 많이 달라졌다.

갑오개혁(1894):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의 분수령으로, 개화․계몽의 시대 사조가 형성되고 언문 일치의 싹이 튼다.

 7.  다음 중 사설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갑. 평민 가객들에 의해 변형된 시조이다.
을. 현실에 대한 비판 정신이 나타났다.
병. 관념적인 것보다 상징적 암유가 사용되었다.
정. 강호가도의 확립을 보았다.

정:자연 속에서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추구한 조선 전기 양반 시조의 특징이다.

 8.  어떤 주제를 놓고 전문가 한두 사람이 강연을 한 후 청중이 질문하거나 의견을 말하는 형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갑. 심포지엄
을. 집단 토의
병. 포럼
정. 패널

갑:학술적․전문적인 주제에 대해 권위자의 권위 있는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병:공공 문제에 대하여 처음부터 청중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공개 토의
정:시사적․전문적인 문제에 관한 배심원들의 대표 토의 후 청중과 질의 응답하는 공동 토의. 이견 조정 수단으로 의회, 일반 회의에 쓰임.

 9.  아래 시의 제목에 쓰인 ‘나그네’는 무엇을 상징하고 있는가?
강나루 건너서 밀밭 길을 /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 남도 삼백 리 /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 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갑. 우리 민족의 애수
을. 우리 민족의 역사
병. 여행자의 흥겨움
정. 우리의 민족성

나그네:향토적 정서가 짙은 박목월의 대표시. 7․5조의 민요풍 시로 체념과 달관의 심경 노래. ‘나그네’는 ‘체념과 달관, 일제하 우리 민족의 총체적 얼’을 표상한다.

10.  “작품의 본질적 내용에 관련하여야만 진정한 이해나 평가가 된다.”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문학 비평 방법의 갈래는?
갑. 역사주의 비평
을. 형식주의 비평
병. 심리주의 비평
정. 사회주의 비평

을:작가․사회․독자와 분리시켜 작품 자체의 내적 구조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비평
갑:작품 발생의 배경이 되는 작가와 사회 등 역사적 사실을 중요시하는 비평
병:작가․등장 인물 등의 심리, 독자가 받은 심리적 영향 등을 분석하는 비평
정: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현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비평

11.  수필 문학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바르지 못한 것은?
갑. 행동․사건이 구조의 중심을 이루며 실용적인 글이다.
을. 자기 고백적 문학이므로 개성이 잘 나타난다.
병. 무형식의 형식으로 형식이 다양하다.
정. 제재가 다양하고 비전문적인 글이다.

수필은 인생에 대한 관조와 체험을 자유롭게 쓴 일상적․대중적인 교술 문학이다.

12.  다음 문장 중 중의적 해석이 가능한 것은?
갑. 영희는 산수와 과학을 좋아한다.
을. 길수는 영희와 민수를 때렸다.
병. 우리 학교는 배구와 축구를 잘한다.
정. 저 가게에는 공책과 연필이 많다.

을:길수 혼자 영희와 민수를 때린 것일 수도 있고, 길수와 영희가 함께 민수를 때린 것일 수도 있다.

13.  소설 문학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갑. 모든 소설은 작가가 꾸며 낸 가공의 세계다.
을. 허구지만 사실성을 지닌 인생의 표현이다.
병. 역사 소설은 역사적 사실의 기록이다.
정. 개연성 있는 사건을 제시하여 감동을 준다.

역사 소설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풍속 등 사실(史實)을 제재로 하여 허구적으로 구성해 낸 가공의 이야기다.

14.  다음 중 사조별 대표자를 잘못 예시한 것은?
갑. 창조파-김동인, 주요한
을. 카프파-박영희, 김기진
병. 청록파-박목월, 조지훈
정. 해외 문학파-한용운, 이육사

정. 해외 문학파:김진섭, 정인섭, 이하윤 등
한용운:민족적 서정 시인
이육사:대륙적․지사적 저항 시인

15.  다음과 같은 추론의 방식은?
∙식물은 영양을 섭취해야 한다.
∙동물도 영양을 섭취해야 한다.
∙식물과 동물은 생물이다.
∙그러므로 모든 생물은 영양을 섭취해야 한다.
갑. 연역법
을. 귀납법
병. 유추법
정. 변증법

을:개별적인 사실을 토대로 공통된 일반 원리를 도출해 내는 방법
갑:일반적 원리에 근거하여 특수한 사실을 도출해 내는 방법

16.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 의하여 ‘남녀 상열지사’라는 평을 받은 작품이 아닌 것은?
갑. 유구곡
을. 만전춘
병. 쌍화점
정. 이상곡

갑:비둘기를 노래한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 예종의 ‘벌곡조’와 관련되며, 정치 풍자의 의미가 담김.
남녀 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남녀가 서로 즐기는 방탕한 노래라는 뜻으로, 남녀의 애정을 주제로 한 고려 속요를 조선 때의 성리학자들이 업신여겨 사리부재(詞俚不載)하였다 함.

17.  다음 중 한자 숙어의 뜻을 틀리게 풀이한 것은?
갑. 誰怨誰咎-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랴.
을. 自强不息-스스로 힘쓰고 쉬지 아니함.
병. 亡羊之歎-학문을 연마하기란 양을 길들이는 것과 같이 힘듦.
정. 靑出於藍-제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말함.

병. 망양지탄:방침이 많아서 어찌할 바를 모름. 또는 학문의 길이 다방면이어서 진리를 깨치기 어려움. ⇨ 다기망양(多岐亡羊)
갑:수원수구을:자강불식정:청출어람

18.  다음 짝지은 작품이 서로 영향을 받았거나 아작이 아닌 것은?
갑. 구토지설-별주부전
을. 연권녀 설화-심청전
병. 방이 설화-홍길동전
정. 대악-상저가

방이 설화 ⇨ 흥부전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 홍길동전(⇨ 전우치전, 서화담전)

19.  다음 밑줄 친 부분과 가장 가까운 뜻의 말은?
그 단체는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명목으로 내세우고 있는 곳이다.
갑. 창조하는
을. 표방하는
병. 채택하는
정. 선호하는

을. 표방(標榜):주의나 주장․견지 따위를 어떠한 명목을 붙여 내세움.

20.  돌아가신 어머니를 일컫는 말은?
갑. 春府丈
을. 先親
병. 先妣
정. 慈堂

갑:살아계신 남의 아버지
을:돌아가신 자기 아버지
정:살아계신 남의 어머니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