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9월 28일에 시행한 경찰직(순경:일반) 공무원 5차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문학의 긍정적 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갑. 삶의 위안과 혁신
을. 역사의 발전적 변혁
병. 실용적인 목적
정. 인생의 계시(啓示)
문학의 기능은 실용적인 목적이나 이념의 선전을 위한 도구성을 배격한다.
문학의 궁극적 기능
1. 삶의 위안과 인생의 계시(啓示)
2. 종교적 체험과 유사한 구원
3. 개인적 삶의 혁신(경험의 증가와 인생의 풍요로움 확보)
4. 사회․역사적 변혁(참여 의식과 문화적 정체성 확보)
문학의 궁극적 기능
1. 삶의 위안과 인생의 계시(啓示)
2. 종교적 체험과 유사한 구원
3. 개인적 삶의 혁신(경험의 증가와 인생의 풍요로움 확보)
4. 사회․역사적 변혁(참여 의식과 문화적 정체성 확보)
2 다음 중 시의 운율을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갑. 어조
을. 이미지
병. 음의 반복
정. 행의 길이
시의 음악적 요소인 운율은 반복되는 소리의 질서에 의해 창출된다.
운율의 형성 요소:동일 음운(자음, 모음)의 반복, 동일 음절의 반복, 일정한 음절 수나 음보의 반복, 통사 구조의 반복 등
운율의 형성 요소:동일 음운(자음, 모음)의 반복, 동일 음절의 반복, 일정한 음절 수나 음보의 반복, 통사 구조의 반복 등
3 시나리오 용어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갑. F․I-화면이 점점 밝아짐.
을. O․L-화면 접속 전환 기법
병. PAN.-장면과 장면을 잇기 위해 넣는 장면
정. D․E-이중 노출
병. PAN.(Panning):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
갑:Fade in
을:Over lap
정:Double exposure
갑:Fade in
을:Over lap
정:Double exposure
4 다음 중 조선 왕조의 창업을 송영(誦詠)한 노래끼리 짝지어진 것은?
갑. 납씨가-화산별곡
을. 죽계별곡-정동방곡
병. 신도가-안민가
정. 관동별곡-상대별곡
갑. 납씨가:태조가 야인을 격퇴한 무공을 찬양한 정도전의 악장
화산별곡:변계량이 조선의 개국 창업을 찬양한 악장
을. 정동방곡:태조의 위화도 회군을 찬양한 정도전의 악장
* 죽계별곡:고려 충숙왕 때 안축이 고향 풍기 땅 죽계의 경치를 읊은 경기체가
병. 신도가:태조의 성덕과 새 도읍지인 한양을 찬양한 정도전의 악장
* 안민가:충담사가 군․신․민의 도리를 읊은 유교적 치국의 노래로 10구체 향가
정. 상대별곡:권근이 사헌부 관헌의 생활과 긍지를 통해 신흥 문물 제도를 찬양한 악장
* 관동별곡:관동의 자연 풍치와 감회를 읊은 정철의 기행 가사
화산별곡:변계량이 조선의 개국 창업을 찬양한 악장
을. 정동방곡:태조의 위화도 회군을 찬양한 정도전의 악장
* 죽계별곡:고려 충숙왕 때 안축이 고향 풍기 땅 죽계의 경치를 읊은 경기체가
병. 신도가:태조의 성덕과 새 도읍지인 한양을 찬양한 정도전의 악장
* 안민가:충담사가 군․신․민의 도리를 읊은 유교적 치국의 노래로 10구체 향가
정. 상대별곡:권근이 사헌부 관헌의 생활과 긍지를 통해 신흥 문물 제도를 찬양한 악장
* 관동별곡:관동의 자연 풍치와 감회를 읊은 정철의 기행 가사
5 조선 후기 국문학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갑. 평민 의식의 각성
을. 순정 문학의 발달
병. 사설시조의 등장
정. 산문 중심의 문학
6 다음 중 판소리계 소설이 아닌 것은?
갑. 별주부전
을. 심청전
병. 흥부전
정. 박씨전
정: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 부인의 전기적 군담 소설
판소리계 소설:판소리 사설이 국문으로 정착, 유통되면서 이루어진 소설.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토끼전’, ‘화용도’, ‘배비장전’, ‘장끼전’, ‘옹고집전’, ‘숙영 낭자전’
판소리계 소설:판소리 사설이 국문으로 정착, 유통되면서 이루어진 소설.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토끼전’, ‘화용도’, ‘배비장전’, ‘장끼전’, ‘옹고집전’, ‘숙영 낭자전’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7~9)
(가) 꽃이
피네, 한 잎 한 잎, / 한 하늘이 열리고 있네. (나) 마침내 남은 한 잎이 / 마지막 ㉠ 떨고 있는 ㉡ 고비 (다) 바람도 햇볕도 숨을 죽이네. / 나도 가만 눈을 감네. -이호우의 ‘개화’ |
7 ㉠의 뜻으로 알맞은 것은?
갑. 진통
을. 전율
병. 고통
정. 번뇌
㉠ 떨고 있는:마지막 한 잎을 피워 내기 위해 혼신의 힘과 정성을 바치는 생명 탄생의 진통을 나타낸 표현
개화:꽃이 피어나는 순간의 경이로움을 통해 생명 탄생에 대한 경외감을 노래한 구별 배행 시조
개화:꽃이 피어나는 순간의 경이로움을 통해 생명 탄생에 대한 경외감을 노래한 구별 배행 시조
8 ㉡의 뜻에 해당하는 것은?
갑. 사연
을. 대목
병. 절정
정. 파국
㉡ 고비:사물의 가장 요긴한 기회나 또는 막다른 절정
9 (가)~(다)의 전개 수법으로 알맞은 것은?
갑. 논리적 순서
을. 점층적 고조
병. 공간적 진행
정. 병렬적 열거
개화의 긴장감과 엄숙성이 1연 ⇨ 2연 ⇨ 3연으로 전개될수록 점점 더 고조되면서, 꽃이 피어나는 순간의 황홀감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10 일인극(一人劇)을 무엇이라 하나?
갑. 멜로 드라마(melo drama)
을. 모노 드라마(mono drama)
병. 레제 드라마(lese drama)
정. 팬터마임(pantomime)
을:한 사람의 배우가 단독으로 상연하는 극. 개인의 내적 자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데 적합함.
갑:과장된 상황 설정이나 대사를 가진 통속적인 연극으로, 대사 사이에 음악을 끼워 넣는 오락적인 연극. 오늘날 연애를 테마로 하는 감상적인 연극이나 영화를 일컬음.
병:무대 상연보다는 문학적으로 읽히는 것을 목적으로 쓴 희곡
정:대본이 없고 표정이나 몸짓만으로 표현하는 연극. 무언극
갑:과장된 상황 설정이나 대사를 가진 통속적인 연극으로, 대사 사이에 음악을 끼워 넣는 오락적인 연극. 오늘날 연애를 테마로 하는 감상적인 연극이나 영화를 일컬음.
병:무대 상연보다는 문학적으로 읽히는 것을 목적으로 쓴 희곡
정:대본이 없고 표정이나 몸짓만으로 표현하는 연극. 무언극
11 다음에서 가족사(家族史) 소설의 성격을 지니지 않은 것은?
갑. 채만식의 ‘태평천하’
을. 하근찬의 ‘수난 이대’
병. 염상섭의 ‘삼대’
정. 전광용의 ‘꺼비딴 리’
정:친일파에서 친소파로, 다시 친미파로 변절하면서 일신의 안위와 출세만 꾀하는 주인공 이인국 박사의 변절적 순응주의를 비판한 인물 소설
가족사 소설:한 가족의 융성과 몰락의 과정을 역사의 변화와 전체 사회의 맥락 속에서 그려 내는 소설. 주제나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장편 소설의 형태를 취함. 토마스 만의 ‘부덴브르크가’, 마르탱 뒤 가르의 ‘티보가의 사람들’, 포의 ‘어셔가의 몰락’ 및 염상섭의 ‘삼대’, 채만식의 ‘태평천하’, 하근찬의 ‘수난 이대’ 등
가족사 소설:한 가족의 융성과 몰락의 과정을 역사의 변화와 전체 사회의 맥락 속에서 그려 내는 소설. 주제나 구성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장편 소설의 형태를 취함. 토마스 만의 ‘부덴브르크가’, 마르탱 뒤 가르의 ‘티보가의 사람들’, 포의 ‘어셔가의 몰락’ 및 염상섭의 ‘삼대’, 채만식의 ‘태평천하’, 하근찬의 ‘수난 이대’ 등
12 “하면 할수록 공부는 어렵다.”에서 밑줄 친 부분은 어느 것에 속하는가?
갑. 첨가형
을. 연발형
병. 구속형
정. 익심형
‘하면 할수록’의 ‘ㄹ수록’은 ‘다른 일이 점점 더 나타남’의 의미를 가진 익심형 어미이다.
종속적 연결 어미의 갈래
구속형 어미:날이 새면 떠나거라.
방임형 어미:지더라도 끝까지 해 보겠다.
첨가형 어미:비가 올뿐더러 바람도 분다.
익심형 어미:갈수록 태산이다.
의도형 어미:고기를 잡으려 그물을 쳤다.
연발형 어미:집을 나서자마자 돌아왔다.
종속적 연결 어미의 갈래
구속형 어미:날이 새면 떠나거라.
방임형 어미:지더라도 끝까지 해 보겠다.
첨가형 어미:비가 올뿐더러 바람도 분다.
익심형 어미:갈수록 태산이다.
의도형 어미:고기를 잡으려 그물을 쳤다.
연발형 어미:집을 나서자마자 돌아왔다.
13 다음 밑줄 친 구절의 앞의 ‘미’와 뒤의 ‘미’를 잘못 나타낸 것은?
한국의 미에는
미 이전의 미가 있다. 이것은 시대와 분야에 따라서 미의 형태가 바뀌고 강약집산(强弱集散)의 차(差)는 있으나, 한국의 미의 근본을 흐르는 이 자연의 미의 성격에는 변함이 없다. -김원룡의 ‘한국의 미’ 중에서 |
을. 인공의 미-자연의 미
병. 미추(美醜)를 인식하는 미-미추를 초월한 미
정. 한국의 미의 근본-세련된 미
‘미 이전의 미’에서 뒤의 ‘미’가 한국의 미의 근본인 ‘자연미’를 의미한다.
14 ‘차선 엄수’란 교통 표지의 언어 기능은?
갑. 정보 전달 기능
을. 지시적 기능
병. 사교적 기능
정. 표현적 기능
‘차선 엄수’란 교통 표지는 사람들에게 1차선을 반드시 지키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지시적 기능을 갖는다.
언어의 기능
1. 표현의 기능:화자의 판단․감정 표현
2. 전달의 기능:논리적․지적인 것을 상징화하여 언어 기호로 전달
3. 지령적(지시적) 기능:듣는 사람을 감화시켜 실제 행동에 옮기도록 하는 기능. 직접적․간접적 지령, 표어, 광고문, 선거 연설 등에 해당
4. 친교적(사교적) 기능:친교 확인․확보를 위한 것으로 발화 상황 자체가 중시됨. 인사말 따위
5. 표출적 기능:표현․전달 의도 없이 거의 본능적으로 사용하는 기능
6. 미적 기능:문학적인 언어 사용의 기능
언어의 기능
1. 표현의 기능:화자의 판단․감정 표현
2. 전달의 기능:논리적․지적인 것을 상징화하여 언어 기호로 전달
3. 지령적(지시적) 기능:듣는 사람을 감화시켜 실제 행동에 옮기도록 하는 기능. 직접적․간접적 지령, 표어, 광고문, 선거 연설 등에 해당
4. 친교적(사교적) 기능:친교 확인․확보를 위한 것으로 발화 상황 자체가 중시됨. 인사말 따위
5. 표출적 기능:표현․전달 의도 없이 거의 본능적으로 사용하는 기능
6. 미적 기능:문학적인 언어 사용의 기능
15 다음 중에서 문법적으로 바르지 않은 문장은?
갑. 정 사실 생각이 없으시면 그냥 구경만 하셔도 됩니다.
을. 선생님 하시는 일이 잘 되셔야 하겠습니다.
병. 할아버지, 맏형이 아버지한테 뭔가 드렸습니다.
정. 어제 거기서 뵈었던 분이 오늘은 집에 들르셨습니다.
병:할아버지, 맏형이 아버지한테 뭔가 주었습니다.
압존법:말 듣는 이가 문장의 주체보다 높을 때 ‘-시-’나 높임말을 쓰지 않는다.
압존법:말 듣는 이가 문장의 주체보다 높을 때 ‘-시-’나 높임말을 쓰지 않는다.
16 다음은 고어와 현대어를 연결해 놓은 것이다. 연결이 잘못된 것은?
정. 여름:과실․열매[實] 녀름:여름[夏]
17 글쓰기의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은?
갑. 주제 설정
을. 구성과 개요 작성
병. 자료의 수집과 선정
정. 구상(構想)
작문의 절차:주제 설정 ⇨ 재료 수집과 선택 ⇨ 구성 및 개요 작성 ⇨ 집필 ⇨ 퇴고
18 다음 한자음을 바르게 읽은 것은?
갑. 遊說-유설
을. 桎梏-지고
병. 容易-용역
정. 眞摯-진지
정. 眞摯(진지):말이나 태도가 참답고 착실함. * 摯:지극할․잡을 지
갑. 遊說(유세):자기 의견이나 정당의 주장을 설명․선전하는 것 또는 그 일 * 說:말씀 설, 달랠 세
을. 桎梏(질곡):자유를 가질 수 없게 몹시 속박하는 일 * 桎:차꼬 질 梏:수갑 곡
병. 容易(용이):아주 쉬움. * 易:쉬울 이, 바꿀 역
갑. 遊說(유세):자기 의견이나 정당의 주장을 설명․선전하는 것 또는 그 일 * 說:말씀 설, 달랠 세
을. 桎梏(질곡):자유를 가질 수 없게 몹시 속박하는 일 * 桎:차꼬 질 梏:수갑 곡
병. 容易(용이):아주 쉬움. * 易:쉬울 이, 바꿀 역
19 다음 한자어의 구조가 다른 하나는?
갑. 讀書
을. 陽春
병. 名將
정. 碧海
갑:술목 구조(책을 읽다)
을․병․정:수식 구조(맑은 봄, 이름난 장수, 푸른 바다)
을․병․정:수식 구조(맑은 봄, 이름난 장수, 푸른 바다)
20 ‘평범하게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에 해당하는 숙어는?
갑. 南男北女
을. 甲男乙女
병. 美男醜女
정. 男女老少
갑. 남남북녀:우리 나라 남쪽에는 남자가, 북쪽에는 여자가 잘난 사람이 많다는 말
병. 미남추녀:잘생긴 남자와 못생긴 여자
정. 남녀노소: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 곧 모든 사람
평범한 사람들:甲男乙女(갑남을녀), 張三李四(장삼이사), 匹夫匹婦(필부필부), 樵童汲婦(초동급부), 凡夫凡婦(범부범부)
병. 미남추녀:잘생긴 남자와 못생긴 여자
정. 남녀노소: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 곧 모든 사람
평범한 사람들:甲男乙女(갑남을녀), 張三李四(장삼이사), 匹夫匹婦(필부필부), 樵童汲婦(초동급부), 凡夫凡婦(범부범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