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5월 31일에 시행한 경찰직(순경:일반) 공무원 1차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동인지, 연대, 참여 작가의 연결이 틀린 것은?
갑. 폐허-1920-염상섭
을. 장미촌-1921-황석우
병. 백조-1922-현진건
정. 조선 문단-1924-최남선


조선 문단:카프에 대항한 민족주의 계열의 문예지로 1924년 이광수․방인근이 발행했다.

 2  다음 중 사이시옷 현상에 맞게 적은 것은?
갑. 나룻배
을. 나뭇봉
병. 윗쪽
정. 노룻꼬리


을:나뭇봉 ⇨ 나무봉
병:윗쪽 ⇨ 위쪽 *‘윗 -’은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 ‘위 -’로 한다.
정:노룻꼬리 ⇨ 노루꼬리

고유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예: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뒷말의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예: 아랫니, 잇몸, 냇물),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날 때(예: 뒷일, 베갯잇, 나뭇잎, 뒷윷) 사이시옷을 표기한다.

 3  연극에서 관객은 들을 수 있으나 무대 위의 상대방은 못 듣는 것으로 약속되어진 대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갑. 대화
을. 방백
병. 독백
정. 해설


대사의 3요소:대화, 독백, 방백

1. 대화:등장 인물들이 주고받는 말. 진행적이고 자연스러우며 집중적․농축적이다.
2. 독백:등장 인물이 혼자서 하는 말. 자기 반성적․설명적이다.
3. 방백:관객에게는 들리나 상대 배우에게는 들리지 않는 것으로 약속되어진 말로, 근대극 이후 거의 쓰이지 않는다.

 4  문학의 여러 양식 중에서 설득의 실용적 공리주의를 적용할 수 있는 문학으로 적당한 것은?
갑. 시
을. 소설
병. 희곡
정. 수필


수필은 객관적 사실에 대한 관조나 사색을 나타내는 교술 장르의 대표적인 문학으로, 설득적․실용적․공리적 성격이 강하다.

 5  다음은 판소리 흥보가 1절이다. 밑줄 친 부분의 알맞은 풀이는?
갑. 외관을 갖춘 모습이 너무 험악하다.
을. 관과 망건이 너무 새 것이어서 오히려 이상스럽다.
병. 차린 형색을 보면 올벼를 심은 논의 허수아비 같구려.
정. 외모가 기운이 없고 바로 쓰러질 형세이다.



 6  ‘예술을 위한 예술’의 한 분파로 미의 창조를 언어 예술의 유일한 목표로 삼는 문예 사조는?
갑. 유미주의
을. 자연주의
병. 사실주의
정. 상징주의


유미주의(唯美主義):예술은 그 스스로를 위하여 있는 것이므로 도덕적․정치적․기타 비예술적 표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없다는 것이 근본 입장이다. 아름다움을 인생의 최고 가치로 생각하며, 미의 창조에서 인생의 보람을 찾는 경향으로, 때로는 본능 그대로의 육감이나 순간적인 향락을 구하기도 한다. 탐미주의(眈美主義), 예술 지상주의라고도 하며, 시에서는 시문학파 계열의 작품을 예로 들 수 있고, 소설에서는 김동인의 ‘광화사’, ‘광염 소나타’를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7  ‘내 차라리 계림의 개, 돼지가 될지언정’에서 쓰인 수사법은?
갑. 대유법
을. 상징법
병. 대조법
정. 풍유법


내 차라리 계림의 개, 돼지가 될지언정:내 차라리 내 나라의 가장 미천한 자가 될지라도. 뜨거운 애국심을 나타낸 문장으로 ‘개, 돼지’는 ‘가장 미천한 자’의 대유적 표현이다.
대유법:부분이나 성격으로 전체나 실체를 나타내는 비유. 부분으로 전체를 표현하는 기법이 제유이고, 표현하려는 사물의 속성으로 그 사물을 대신하는 기법이 환유이다.
제유:사람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빵 ⇨ ‘먹을 것’의 일부)
환유:사람을 바지저고리로 아느냐? (바지저고리 ⇨ 못난 사람)

 8  다음 빈 칸에 들어갈 한자는?
君子有三(  ) 而王天下 不與存焉이니라.
갑. 樂
을. 與
병. 晤
정. 鵡


君子有三樂 而王天下 不與存焉(군자유삼락 이왕천하 불여존언):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으나, 천하의 왕노릇하는 일은 거기에 있지 아니하니라.

 9  1970년대 이후 순수 참여에 관한 논란이 있었다. 이것은 무엇과 무엇에 대한 논쟁인가?
갑. 역사성과 예술성
을. 쾌락과 교훈
병. 쾌락과 예술 지상주의
정. 역사성과 문학성


문학의 쾌락적․심미적 기능을 중시한 것이 순수 문학의 입장이고, 문학의 교훈적․인식적 기능을 중시한 것이 참여 문학의 입장이다.

10  민족 언어로 현재까지 내려오는 고유어는?
갑. 백제어
을. 신라어
병. 고구려어
정. 부여어


현대 국어의 근간은 신라어이다.
고대의 국어는 북방계(부여-고구려) 언어와 남방계(한-신라․백제) 언어로 구별되었는데, 신라의 삼국 통일로 신라어 중심의 언어적 통일이 꾀해져 오늘날의 국어로 이어졌다.

11  정극인의 ‘상춘곡’의 전통을 잇고, 정철의 ‘성산별곡’에 영향을 준 작품은?
갑. 관서별곡
을. 면앙정가
병. 사제곡
정. 관동별곡


가사 문학의 계보:상춘곡(정극인) ⇨ 면앙정가(송순) ⇨ 성산별곡(정철)

12  작가와 작품의 연결이 틀린 것은?
갑. 박목월-나그네
을. 한용운-승무
병. 서정주-국화 옆에서
정. 윤동주-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조지훈:승무, 고풍 의상, 봉황수
한용운:님의 침묵, 알 수 없어요, 복종, 길, 찬송

13  다음 중 한자어의 독음이 틀린 것은?
갑. 유세-遊說
을. 수사-搜査
병. 간주-看做
정. 포악-暴凄


정. 포악(暴惡):사납고 악함.   *暴:사나울 포, 나타낼 폭 惡:나쁠 악, 미워할 오
갑. 유세(遊說):자기 의견이나 소속 정당의 주장 따위를 설명하고 선전함, 또는 그 일   *說:말씀 설, 달랠 세
을. 수사(搜査):찾아서 조사함.   *搜:찾을 수
병. 간주(看做):그렇다고 봄. 그렇게 여김.

14  다음 밑줄 친 말이 표준어가 아닌 것은?
갑. 경호는 우레와 같은 박수소리를 받고선 기분이 썩 좋았다.
을. 성민이는 설 명절 때면 으레 외할아버지를 찾아 뵙곤 했다.
병. 현철이는 성격이 하도 괴팍(乖愎)해서 따르는 사람이 없다.
정. 자네 아이 첫돐이 4월 중순쯤 되지? 그땐 꼭 연락해야 하네.


정:첫돐 ⇨ 첫돌

15  다음은 고유한 우리 낱말들이다. 이 중에서 “재산이 많다”, “살림이 넉넉하다”를 뜻하는 낱말은?
갑. 고샅
을. 고갱이
병. 가멸다
정. 시나브로


갑. 고샅:마을의 좁은 골목길. 좁은 골짜기의 사이
을. 고갱이:사물의 알짜가 되는 속내. 핵심
정. 시나브로: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16  다음 한자 성어의 뜻풀이로 알맞은 것은?
麥秀之嘆
갑. 보리 이삭이 무성한 것을 보고 한탄함.
을. 나라가 망한 것을 보고 한탄함.
병. 벗이 잘 됨을 기뻐함.
정. 고향이나 근본을 잊지 않음.


麥秀之嘆(맥수지탄):기자(箕子)가 은(殷)이 망한 후에, 폐허가 된 도읍지에 보리만 부질없이 자라는 것을 보고 한탄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멸망한 고국(故國)에 대한 한탄을 뜻함.

17  다음에서 존대말을 잘못 쓴 것은?
갑. 그분께서 주시는 걸 받아 오너라.
을. 아버지, 제 말씀 좀 들어보세요.
병. 할아버지, 아버지께서 지금 오셨습니다.
정. 선생님, 댁에선 지하철이 머시죠.


병:할아버지, 아버지께서 지금 오셨습니다. ⇨ 할아버지, 아버지가 지금 왔습니다.
압존법:문장의 주체가 말하는 이보다 높아도 말듣는 이보다 낮으면 ‘­시­’를 쓰지 않는다. ⇨ 주체 높임의 제약

18  다음 중 최초의 근대적인 장편 소설은?
갑. 어린 희생
을. 개척자
병. 무정
정. 상록수


무정:1917년 매일 신보에 연재(1917. 1. 1 ~ 6. 14 )된 우리 나라 최초의 현대 장편 소설.근대 의식과 계몽 의식을 고취하면서 자아의 각성을 촉구하고, 근대적 인물의 창조, 심리 묘사, 구어체 사용 등으로 소설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이광수의 대표적 작품이다. 그러나 ‘무정’은 계몽적 주제, 유형적인 인물, 두드러진 작자의 개입, 스토리상의 우연성 등에서 전근대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무엇보다 완전한 언문 일치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인다.

19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좋은 글의 요건은?
㉠ 플로베르의 ‘일물 일어설(一物一語說)’
㉡ 베이컨은 “학자(學者)와 함께 생각하고 대중(大衆)과 함께 말하자.”라고 했다.
갑. 표현의 명료성
을. 태도의 진실성
병. 구성의 치밀성
정. 내용의 충실성


㉠ 플로베르의 ‘일물 일어설(一物一語說)’:정확한 어휘의 선택은 명료한 표현의 기초이다.
㉡ 학자(學者)와 함께 생각하고 대중(大衆)과 함께 말하자(베이컨):생각은 학자와 같이 심사숙고하되, 글로 나타낼 때는 누구나 알기 쉽게 써야 한다.

20  다음 중 농촌 계몽 운동과 관계 깊은 소설은?
갑. 무정
을. 성황당
병. 상록수
정. 메밀꽃 필 무렵


상록수:1935년에 농촌 계몽을 주제로 한 동아 일보의 장편 소설 공모에 당선된 작품으로, 러시아 ‘브나로드(V narod)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농촌 계몽에 투신하는 젊은 남녀 박동혁과 채영신의 헌신적 노력과 역경 극복, 고귀한 사랑을 그리고 있다.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