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9월 6일에 시행한 국가직(행자부) 7급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다음의 노래를 포함하고 있는 국문학 장르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신흥 사대부의 호탕한 기상이 드러난다.
②  평민 문학으로 조선 후기까지 그 명맥이 유지되었다.
③  우리의 전통적 율조인 4음보 율격을 지니고 있다.
④  적층 문학으로 후세 사람들에 의해 첨삭․개작의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시된 지문은 남녀의 적나라한 애정을 표현한 고려 속요 ‘쌍화점’의 1연이다.

※ 고려 속요: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성격의 서정 가요로,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된 평민 문학이다. 분절체․후렴구가 발달되었고, 3․3․2, 3․3․4, 4․4․4조의 3음보 율격을 지녔다. 오랫동안 구전되다가 조선 초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기록되어 정착하는데, 이 과정에서 ‘남녀 상열지사’라 하여 많은 작품이 제외되었고, 수록 과정에서도 첨삭․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2. 다음 각 사항들을 시대순으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 정도전의 ‘신도가’   ㉡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 김만중의 ‘사씨남정기’ ㉣ 박지원의 ‘양반전’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 신도가:태조 때 정도전이 태조의 성덕과 새 도읍지인 한양을 찬양한 악장

㉡ 어부사시사:효종 때 윤선도가 자신이 은거하던 보길도의 춘․하․추․동 각 계절의 경치를 10수씩 읊은 전 40수의 연시조

㉢ 사씨남정기:숙종 때 김만중이 숙종과 인현왕후․장희빈과의 관계에 빗대어 처첩 간의 갈등을 그린 한글 소설

㉣ 양반전:정조 때 연암 박지원이 양반들의 허위와 부패상을 그린 한문 단편 소설

3. 개화기 문인들 중에서 그 작품 경향이 나머지 세 사람과 다른 한 사람은?
①  신채호
②  이인직
③  이해조
④  최찬식

이인직․이해조․최찬식 등의 신소설 작가들이 깊이 있는 현실 인식․민족 주체성의 결여로 낙관적인 문명 개화의 꿈을 그리는 데 그친 반면, 신채호는 역사 전기 문학(을지문덕전, 이순신전, 최도통전, 이태리 건국 삼걸전 등)을 통해 민족주의적 저항 문학으로서 주체적 애국 계몽 운동에 기여했다.

4. 문학의 교훈적 효용성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절한 작품은?
①  상춘곡
②  관동별곡
③  일동장유가
④  농가월령가

농가월령가:조선 순조 때 정학유가 지은 장편 월령체 가사로, 월령과 절후에 따라 농가에서 해야 할 일과 세시 풍속을 나타내고 있다. 농촌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 내기보다 예의 범절이나 풍속 중심으로 노래하고 있으며, 지시와 교훈을 내리는 서술자에 의해 계몽적․교훈적 성격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5. 다음의 예문에서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예문에는 ㉠과 같은 ㅎ 종성 체언이 모두 3개 있다.
②  ㉡은 후에 ‘ㄹ 탈락’을 겪었다.
③  ㉢은 현대 국어에서 ㅂ 불규칙 용언이다.
④  ㉣에는 피동 접미사가 결합되어 있다.


6.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을 옳게 해석한 것은?
生乎吾前 其聞道也 固先乎吾 吾從而師之 生乎吾後 其聞道也 亦先乎吾 吾從而師之. 吾師道也 夫庸知其年之先後生於吾乎. 是故 無貴無賤 無長無少 道之所存 師之所存.
①  이런 까닭으로 귀천과 어른 아이에 관계없이 도가 있는 곳에 스승이 있는 것이다.
②  이런 까닭으로도 귀천도 없고, 노소도 없으며, 도가 있고, 스승이 있는 것이다.
③  이런 까닭으로 귀함이 없으면 천함이 없고, 어른이 없으면 아이가 없는 것처럼, 도가 있으면 스승이 있는 것이다.
④  이런 까닭으로 귀천이 없기에 노소가 없으며, 도가 있기에 스승이 있는 것이다.

生乎吾前(생호오전)하여 其聞道也(기문도야)가 固先乎吾(고선호오)면 吾從而師之(오종이사지)하고 生乎吾後(생호오후)라도 其聞道也(기문도야)가 亦先乎吾(역선호오)면 吾從而師之(오종이사지)라. 吾(오)는 師道也(사도야)어니 夫庸知其年之先後生於吾乎(부용지기년지선후생어오호)아? 是故(시고)로 無貴無賤(무귀무천)하며 無長無少(무장무소)하고 道之所存(도지소존)은 師之所存也(사지소존야)라:내 앞에 태어나서 그 도를 들음이 진실로 나보다 더 먼저라면 내가 좇아서 그를 스승으로 삼을 것이고, 내 뒤에 태어났더라도 그 도를 들음이 또한 나보다 먼저라면 내가 좇아서 그를 스승으로 삼을 것이다. 나는 도를 스승으로 여기는 바이니, 어찌 그 나이가 나보다 먼저 태어나고 뒤에 태어나고 한 것을 알겠는가? (상관하겠는가?) 그러므로 귀한 것도 없고 천한 것도 없으며 나이가 많고 적음도 없이 도가 있는 곳에는 스승이 있는 것이다. -한유(韓愈)의 ‘사설(師說)’

7.  논리적 결함이나 오류가 없는 문장은?
①  어떤 물에 은수저를 넣었을 때 검은 색으로 변하면 그 물에는 독이 있다. 그런데 이 물은 검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물에는 독이 없다.
②  모든 사람은 죄인이다. 모든 죄인은 벌을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벌을 받아야 한다.
③  대학은 학문의 전당이다. 여러분은 대학의 구성원이 되었다. 그러므로 여러분의 사명은 학문 연구다.
④  아시아의 이 나라는 매우 가난한 나라다. 그 옆의 나라도 매우 가난하다. 그러므로 아시아에는 가난한 나라뿐이다.

①:가언적(假言的) 삼단 논법 ⇨ 대전제가 가언(조건) 명제로 되고 소전제가 대전제의 전건이나 후건을 긍정 또는 부정함으로써 결론을 얻는 삼단 논법. 예문은 전건 부정에 의해 후건 부정을 이끌어 내는 경우에 해당한다.

②:은밀한 재정의의 오류⇨단어(‘죄인’)를 임의로 재정의하여 논증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오류

③:분할의 오류⇨전체의 어떤 특성을 부분의 특성과 일치할 것으로 단정하는 데서 생기는 오류

④: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부적합하고 대표성이 결여된 근거들을 이용하여 특수한 사례를 성급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빚어지는 오류

8. 현대 국어에서 생산성을 가지지 못하는 단어 형성 방식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①  굶주리다
②  등불
③  작은아버지
④  뛰어나다

통사적 합성어:우리말의 일반적 단어 배열법과 일치하는 합성어로 생산적이다. 예) 등불, 돌다리, 작은아버지, 날짐승, 뛰어나다, 돌아가다, 힘들다, 본받다 등

비통사적 합성어:우리말의 일반적 단어 배열법과 어긋나는 합성어로 비생산적이다. 예) 들것, 늦잠, 굶주리다, 여닫다, 굳세다, 부슬비 등

9. 채만식의 ‘탁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판소리식 문체를 구사하였다.
②  부정적 인물보다 긍정적 인물을 더 잘 그렸다.
③  일제 시대 군산의 미두장을 배경으로 했다.
④  식민지 수탈 구조 속의 한 가정의 파탄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②:채만식의 소설들은 부정적 상황에서의 몰락이라는 구도를 보이며 현실 문제를 풍자적 수법으로 탐구하는데, 시대적 한계로 인해 긍정적 인물을 통한 긍정적 대안 제시보다는 부정적 인물들을 통한 현실 비판, 풍자에 주력하였다.

※ 탁류(濁流):1937년 조선 일보에 연재된 채만식의 장편 소설. 1930년대 군산의 미두장을 배경으로 여주인공 초봉의 기구한 수난사를 그렸다. 식민지하의 혼탁한 물결에 오염되고 파멸해 가는 한 가족과 주변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사회의 어두운 면을 풍자와 냉소로 나타낸 사회 풍자 소설이다.

10.  판소리 중 그 형성 과정이 나머지와 두드러지게 다른 하나는?
①  심청가
②  춘향가
③  적벽가
④  흥부가

‘심청가’, ‘춘향가’, ‘흥부가’는 우리 나라 고대 설화에서 판소리 사설로 형성된 적층 문학인 반면, ‘적벽가’는 「삼국지연의」의 ‘적벽대전’을 창조적으로 변용한 작품으로 외국 문학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판소리 특유의 평민적 시각을 잘 구현했다.

11.  표준어가 아닌 것은?
①  사글세
②  돐
③  미장이
④  구절

②:돐(×)⇨돌(○)
①:삯월세(×)⇨사글세(○)
③:미쟁이(×)⇨미장이(○)
④:귀절(×)⇨구절(○)

12.  ‘雪上加箱’의 뜻과 유사한 것은?
①  下穽投石
②  我歌君唱
③  春寒老健
④  屠門戒殺

雪上加霜(설상가상):눈 위에 서리가 덮인 격. 어려운 일이 연거푸 일어남.

① 下穽投石(하정투석):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던짐. 어려운 처지에 처한 사람을 오히려 괴롭힌다.
② 我歌君唱(아가군창):내 노래를 남이 부름.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큰 소리를 친다.
③ 春寒老健(춘한노건):봄 추위와 노인의 건강. 사물이 오래가지 아니한다.
④ 屠門戒殺(도문계살):고기잡는 집(도가)에서는 살인을 삼가는 계율을 지키지 못함. 즉, 지키기 어려운 약속

13.  다음의 시와 유사한 가치관이 드러나 있는 시는?
겨울 바다에 가 보았지. / 미지의 새,
보고 싶던 새들은 죽고 없었네.
그대 생각을 했건만도 / 매운 해풍에
그 진실마저 눈물져 얼어 버리고
허무의 / 불 / 물 이랑 위에 불 붙었네.
나를 가르치는 건 / 언제나 / 시간…….
끄덕이며 끄덕이며 겨울 바다에 섰었네.
남은 날은 / 적지만
기도를 끝낸 다음 / 더욱 뜨거운 기도의 문이 열리는
그런 영혼을 갖게 하소서.
남은 날은 / 적지만
겨울 바다에 가 보았지.
인고(忍苦)의 물이 / 수심(水深) 속에 기둥을 이루고 있었네.
①  나는 시방 위험한 짐승이다. /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 미지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②  기침을 하자. /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 눈 위에 대고 기침을 하자. / 눈더러 보라고 마음 놓고 마음 놓고 / 기침을 하자.
③  산은 날더러 들꽃이 되라 하고 / 강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 산서리 맵차거든 풀 속에 얼굴을 묻고 / 물여울 모질거든 바위 위에 붙으라네.
④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 한 해가 지고 / 또 올지라도 // 어린 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 고운 이빨을 보듯 // 새해는 그렇게 맞을 것이다.

겨울 바다:겨울 바다가 주는 암울한 절망감과 허무 의식을 인고의 시간이 주는 깨달음의 지혜와 뜨거운 기도로 극복하고 신념화된 삶의 의지를 그린 김남조의 시로, 사랑과 진실한 삶을 희구하고 있다.

④:김종길의 ‘설날 아침에’-인생의 길은 차갑고 험난해도 착하고 슬기롭게 살아야 한다는 건실한 삶에의 다짐과 희망을 노래
①: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사물에 내재하는 본질적인 의미 추구
②:김수영의 ‘눈’-순수한 생명 의식을 통한 부정적 현실 극복에의 갈망과 고뇌

14.  맞춤법에 어긋나는 것은?
①  넋두리
②  넓적하다
③  널찍하다
④  얇다랗다

④:얇다랗다⇨얄따랗다[얄따라타]

15.  밑줄 친 것 중 세 자리 서술어가 아닌 것은?
①  영수는 그 편지를 우체통에 넣었다.
②  학생들이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다.
③  영수는 동생에게 책을 주었다.
④  최진사는 꽃분이를 며느리로 삼았다.

②:두 자리 서술어. 주어와 목적어만 서술어의 필수 성분으로 요구된다.
①․③․④:주어+목적어+필수 부사어+서술어

16.  “讀書白(  )而義自(  )이라(글 읽기를 백 번하면 뜻이 저절로 나타난다)”에서 (  ) 안에 들어갈 한자는?
①  篇, 現
②  遍, 見
③  偏, 顯
④  編, 俔

讀書白遍而義自見(독서백편이의자현):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나타난다.
* 遍:두루 편 見:볼 견, 나타날 현

17.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기존 양식이 해체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②  문학 작품이 상품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③  인간의 정감(情感)을 긍정하는 문학이 등장했다.
④  우리 민족의 우월감을 강조하는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개화기 문학: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으로, 서구 문물의 유입에 따른 문학적 변화가 진행된다. 가사․한시 등이 사라지고 고소설이 신소설로 탈바꿈하며, 근대적 출판사와 민간 신문의 출현으로 직업적 작가가 등장하여 문학이 상품화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는 시대적 이념을 노래한 창가․신소설 등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인간의 정감을 다룬 번안 소설․신파극이나 민족의 우월감을 강조한 역사 전기 소설도 등장하였다.

18.  역사 소설에 대한 가장 옳은 설명은?
①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소설을 가리킨다.
②  역사적으로 유명한 작가의 소설을 뜻한다.
③  역사적 사실을 다루거나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④  역사적 사실의 재현 정도에 따라 평가를 받는 소설이다.

역사 소설(歷史小說):작품이 쓰인 시기보다 상당히 앞선 시대의 역사상의 사실이나 인물을 소재로 하여 씌어진 소설. 대개 교훈적인 의미가 암시되어 있으며, 사실에 충실하는 경우와, 시대적 배경만 빌려 오고 허구에 충실하는 경우가 있다. 예) 이광수의 ‘단종애사(端宗哀史)’, 김동인의 ‘대수양’, ‘운현궁의 봄’, 박종화의 ‘대춘부(待春賦)’ 등

19.  허균의 시화(詩話) 「학산초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허균이 살았던 당시(선조 때)의 시인들에 대한 시화이다.
②  「학산초담」 108칙 가운데 시화 및 시평이 99칙이다.
③  학당파의 시평 및 시화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④  「성수시화」에 실려 있다.

학산초담:허균 당시의 시인들, 특히 3당 시인과 허난설헌, 허봉, 이주, 김정의 시평을 중심으로 한 시화로 「패림(稗林)」에 실려 있다.
④:「성수시화」는 역대의 한시를 정리한 것이다.

20.  다음 낱말들의 한자가 모두 옳은 것은?
㉠ 무마 ㉡ 벽촌㉢ 파종㉣ 옹호
     ㉠    ㉡    ㉢    ㉣
①  撫摩 壁村 波種 擁互
②  撫摩 僻村 播種 擁護
③  無痲 壁村 播從 甕號
④  蕪痲 碧村 把種 翁好

㉠ 무마(撫摩):남을 달래어 위로함.
*撫:어루만질 무 摩:갈․어루만질 마
㉡ 벽촌(僻村):외진 곳에 있는 마을
*僻:궁벽할 벽, 피할 피
㉢ 파종(播種):씨앗을 뿌림.
*播 뿌릴 파
㉣ 옹호(擁護):부축하여 보호함. 편들어 지킴.
*擁:안을․도울 옹


전체 정답

1. ④  2. ①  3. ①  4. ④  5. ④
6. ①  7. ①  8. ①  9. ②  10. ③
11. ②  12. ①  13. ④  14. ④  15. ②
16. ②  17. ④  18. ③  19. ④  20. ②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