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2월 22일에 시행한 법원직 9급 (법원서기보직)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1~3)
㈎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 ㉠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 가시는 걸음 걸음 /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문  1】  ㉠의 상징적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A. 서정적 자아의 고독한 마음
B. 체념과 원망
G. 임에 대한 정성과 사랑
M. 향토적 서정성


㉠:이 시에서 ‘진달래꽃’은 임에 대한 서정적 자아의 사랑과, 떠나는 임에게 자신을 아낌없이 주려는 정성이 담겨 있는 제재로, 떠나는 임을 원망하지 않고 사랑과 축복으로 감싸는 ‘사랑의 승화’를 보여 준다.

【문  2】  한국 여인의 매몰찬 인고(忍苦)의 정신이 잘 드러난 연은?
A. ㈎
B. ㈏
G. ㈐
M. ㈑


㈑:슬퍼도 슬퍼하지 않는 애이불비(哀而不悲)와, 한국 여인의 인고(忍苦)와 자제(自制)가 잘 나타난 부분으로 자기 극복의 역설이 담겨 있다.
㈎:동양적 체념을 통한 이별의 정한
㈏:떠나는 임에 대한 축복
㈐:원망을 초극한 고귀한 사랑(슬픔의 승화와 축복)

【문  3】  윗글의 주된 정서를 잘 드러낸 말은?
A. 恨
B. 怨
G. 愛
M. 悲


이 시(‘진달래꽃’)는 떠나갈 임에 대한 아쉬움과 이별의 슬픔을 역설적으로 승화시킨 김소월의 대표작으로, 민족적 한(恨)의 정서와 민요조의 가락이 정교하게 결합된 전통적 서정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4~5)
교두(交頭) 각시 청파에 성을 내어 긴 입을 얼긋거리면서 이르되, “척(尺) 부인은 너무 공치사 하지 마소. 내 입이 한 번 가야 모양과 격식이 나나니, 내 공이 진실로 으뜸되리로다.”
【문  4】  윗글은 바느질 도구를 의인화하여 쓴 ‘규중 칠우 쟁론기’이다. 이 글에서 말하고 있는 이는?
A. 바늘
B. 실
G. 자
M. 가위


M. 가위:교두 각시(交頭閣氏)
A. 바늘:세요 각시(細腰閣氏)  
B. 자(尺):척 부인(戚夫人)
G. 실:청홍흑백 각시(靑紅黑白閣氏)

※ 규중 칠우 쟁론기(閨中七友爭論記):바느질과 관련된 일곱 가지 사물을 의인화하여 세정(世情)을 풍자한 내간체 고대 수필로, 직분에 따른 성실한 삶의 추구를 교훈으로 한다.

【문  5】  윗글에서 말하고 있는 비판의 대상은?
A. 바늘
B. 실
G. 자
M. 가위


G:척 부인[자]이 길이, 너비, 품 등을 재므로 자신의 옷 만드는 공이 제일이라 하자, 교두 각시[가위]가 자기가 잘라 주지 않으면 모양이 안 나온다며 척 부인을 비판하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공치사를 하고 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6~8)
순화(純化, 醇化)란 잡스러운 것을 걸러서 순수(純粹)하게 하는 일이요, 복잡한 것을 단순(單純)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어 순화란, 잡스러운 것으로 알려진 들어온 말 (㉠ 외래어, 외국어)을 가능한 한 토박이말로 재정리하는 것이요, 비속(卑俗)한 말과 틀린 말을 고운 말과 ㉡ 표준어(標準語) 및 말의 법대로 바르게 쓰는 것이다. 또 그것은 복잡한 것으로 알려진 어려운 말을 될 수 있는 대로 쉬운 말로 고쳐 쓰는 일도 된다. 한마디로 말하면 우리말을 다듬는 일, 그것이 바로 국어의 순화이다.
【문  6】  윗글에서 말하는 국어 순화의 범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샘플 ⇨ 견본
B. 아가리 ⇨ 입
G. 악장(岳丈) ⇨ 장인
M. 깜깜하다 ⇨ 캄캄하다.


M:자음(ㄲ, ㅋ)의 교체로 미묘한 어감의 분화를 가져오는 음상(音想)에 해당하는 것으로 국어 순화와는 관계가 없다.
A․B․G:‘샘플(sample)’은 들어온 말(외국어)이고, ‘아가리’는 비속어이며, ‘악장(岳丈)’은 잘 쓰지 않는 어려운 한자어이므로, 모두 국어 순화의 대상이 된다.

※ 국어 순화의 대상:은어, 비어, 속어, 욕설, 방언, 외래어 및 외국어

【문  7】  ㉠ ‘외래어’와 거리가 먼 것은?
A. 버스
B. 와이프(wife)
G. 담배
M. 잉크


B:외국어

외국어(外國語):국어에 아직 동화되지 않은 외국말   예: 스피드(speed), 템포(tempo), 닥터(doctor) 등

외래어(外來語):우리말의 체계에 들어와 사회적 공인을 받아 사용되는 말. 고유어처럼 인식되는 귀화어(붓, 구두, 담배, 고무 등)와 차용어(펜, 빵, 타이어 등)가 있다.

【문  8】  ㉡의 규정에 어긋난 것은?
A. 현대
B. 중류 사회
G. 교양인의 언어
M. 서울말


B: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현대 서울말이다(표준어 규정 제1항).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9~12)
우리의 사대주의는 하나의 정책이었지 그 이상의 것은 아니었다. 특히 고려 시대에 있어서는 사대 일변도라는 것은 없었다.
고려 성종 때 거란군 10만이 침입해 들어왔을 때 그들은 제한된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즉 거란과 송(宋)의 대립에 있어서 고려가 송나라의 동맹국의 역할을 방지함으로써 배후의 위협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서희는 혼미 분란한 상황 속에서 거란군의 목적을 통찰하고 중립을 약속함으로써 한 방울의 피도 흘리지 않고 10만 거란군을 물러가게 하였을 뿐 아니라, 종래 소속이 분명치 않던 압록강, 청천강 사이의 완충 지대를 확실한 고려 영토로 인정받는 등 그야말로 ( ㉠ ) 성공을 거두었던 것이다.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하거니와, 17세기 초 광해군 때의 북방 정세도 서희 당시의 그것을 방불케 하는 것이었다. 즉 신흥 만주족은 조선이 맡은 명나라의 동맹국 역할 (  ㉮  )을 우려하고 있었다. 광해군의 말과 같이 우리의 힘이 이들을 대적할 수 없다면 헛되이 고지식한 주장을 내세워 나라를 위험한 경지로 몰 것이 아니라 안으로 자강, 밖으로 유화의 책을 써서 고려와 같이 하는 것이 보국의 길이었다. 그러나 광해군의 식견 (  ㉯  )과 선견지명은 홀로 뛰어난 것이었고, 고관들은 반대를 일삼았으니 왕과 그의 정부와의 불화는 마침내 다년간 정계에서 침체하였던 서인들에게 반정이라는 이름의 쿠데타의 기회를 주었으며, 인조 정권은 광해군이 명에 대한 사대의 원리에 충실치 않았던 것을 반정의 명분으로 삼았던 만큼 대명 일변도적(對明一邊倒的) 사대를 ‘입국지본(立國之本)’으로 삼은 것은 필연적인 귀결(  ㉰  )이었으며, 그것은 ㉡ 외교 정책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복잡 다단한 정세에서 그러한 비현실적 융통성 없는 정책이 전쟁을 자초 유발(  ㉱  )하리라는 것은 예견될 수 있는 필연적인 사태의 발전이었다.
두 차례의 호란과 굴욕적인 삼전도에서의 항복은 이러한 사태의 결산이었으며, 그것은 정책으로서의 사대주의가 이성과 주체성을 잃고 사대의 명분을 중시하는 자아 상실의 사대주의 중독증에 걸린 탓이었다. 사대주의의 중독적 단계를 모화(慕華)라고 부른다.

【문  9】  다음 중 윗글의 내용에 부합하는 진술은?
A. 사대주의는 우리 나라를 중국에 예속되게 만들었다.
B. 사대주의는 종국을 교란시키기 위한 외교 정책이었다.
G. 사대주의는 민족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였다.
M. 사대주의는 중국 문화에 대한 선망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A:이 글은 고려 시대 하나의 정책이었던 사대주의가 조선 시대 양란을 전후하여 이성과 주체성을 상실한 모화 사상으로 변질, 타락되어 중국에의 예속을 초래했음을 비판하고 있다.

【문10】  ㉠에 들어갈 말은?
A. 식은 죽 먹는
B. 도랑 치고 가재 잡는
G.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는
M. 호랑이 굴에 들어가 호랑이 잡는


B: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소득을 보는, 일거양득식의
A:너무나 쉬운
G:실행하기 어려운
M:위험함을 무릅쓰고 뜻한 바의 결과를 얻는

【문11】  밑줄 친 ㉡의 구체적 내용을 옳게 설명한 것은?
A. 이상 중시 ⇨ 현실 중시
B. 사대 숭상 ⇨ 주체 확립
G. 폐쇄 고수 ⇨ 개방 확대
M. 실리 추구 ⇨ 명분 추구


㉡ 현실에 맞는 실리 외교를 추구하던 광해군의 정책은 인조반정 후 명분 중심의 대명 사대 외교로 전환하게 된다.

【문12】  ㉮~㉱의 한자(漢子)가 잘못 연결된 것은?
A. ㉮ - 力割
B. ㉯ - 識見
G. ㉰ - 歸結
M. ㉱ - 誘發


A. 역할(役割):구실
   *役:부릴․일 역    割:나눌 할
B. 식견(識見):학식과 의견, 판단 능력
   *識:알 식    見:볼 견
G. 귀결(歸結):어떤 결론에 이름, 또는 그 결론
M. 유발(誘發):어떤 일이 원인이 되어 다른 일이 일어남, 또는 일으킴.
   *誘:꾈 유

【문13】  다음 중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된 것은?
A. 너는 공부하는 것보다 차라리 일하는 것이 낫겠다.
B. 철수는 바야흐로 노래를 불렀다.
G. 지금으로부터 교장 선생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M. 할아버지, 지금 아버지께서 오시고 계십니다.


B:불렀다.⇨부르려 한다.
* ‘바야흐로’는 ‘이제 막, 이제 한창, 지금 바로’의 의미로 가까운 미래와 호응한다.

G:계시겠습니다.⇨있으시겠습니다.
* ‘말씀’ 자체에 ‘계시다’를 붙이지 않는다.

M:아버지께서 오시고 계십니다.⇨아버지가 오고 있습니다.
* 문장의 주체가 말하는 이보다 높아도 말듣는 이보다 낮으면 ‘-시’를 쓰지 않는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14~16)
일 년에 한 두번 방학 때만 오래간만에 만나는 터이나, 이 두 청년은 ㉠ 입심 자랑이나 하듯이 주고 받는 말끝마다 서로 비꼬는 수작 밖에 없건마는, 그래도 한 번도 정말 노해 본 일은 없는 사이다. 중학에서 졸업할 때까지 ㉡ 첫째, 둘째를 겯고 틀던 수재이고, 비슷비슷한 가정 사정에서 자라났기 때문에 어린 우정일망정 어느덧 깊은 이해와 동정은 버리려야 버릴 수가 없는 것이었다.
이지적(理智的)이요, 이론적(理論的)이기는 둘이 더하고 덜할 것이 없지마는, 다만 덕기는 있는 집 자식이요, 해사하게 생긴 그 얼굴 모습과 같이 명쾌한 가운데도 안존하고 순편한 편이요, 병화는 거무튀튀하고 유들유들한 맛이 있느니만큼 남에게 좀처럼 머리를 숙이지 않는 고집이 있어 보인다.
그 수작 붙이는 것을 보아도 덕기 역시 넉넉한 집안에 파묻혀서 곱게 자라난 분수 보아서는 명랑하지 못한 성미이나, 병화는 이 이삼 년 동안에 더욱이 성격이 뒤틀어진 것을 덕기도 냉연히 바라보고 지내는 터이었다.

【문14】  다음 중 윗글의 구성상 단계와 가장 가까운 것은?
A. 인물의 성격이 제시되는 단계
B. 사건이 본격화되는 단계
G. 갈등이 정점에 이르는 단계
M. 갈등의 해소가 암시되는 단계


윗글은 ‘삼대’ 전체의 발단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친구 사이인 두 청년(덕기와 병화)의 성격을 대비하여 제시하고 있다.

【문15】  다음 두 사람의 대화 내용 중 밑줄 친 ㉠이 확인되지 않는 것은?
A. “야아, 그러지 않아도 저녁 먹고 내가 가려 하였었네.”
“자네 같은 부르주아가 내게까지! 자네가 작별하러 디닐 데는 적어도 조선 은행 총재나…….”
B. “여보게, 담배부터 하나 내게. 내 턱은 그저 무어나 들어오라는 턱일세.”
“그저 담배 한 개라도 착취를 해야 시원하겠나? 자네와 나와는 착취, 피착취의 계급적 의식을 전도시키세.”
G. “나니까 자네 따위를 줄줄 쫓아다니며 토주라도 해서 먹어 주는 줄은 모르구…….”
“왜 안 그렇겠나? 일세의 혁명가가 인제 중학교나 면한 어린애를 친구라기는 창피도 할걸세. 대단 영광일세.”
M. “그러지 말구 여기 들어가서 저녁이나 먹세. 하루에 끼니라는 곯은 배를 채워야지.”
“아냐. 저기 좀더 가면 좋은 데 있어. 정체는 모르겠지마는 놀라 자빠질 미인이, 조촐한 미인이 둘이나 있구…….”


㉠은 말 잘하는 것으로 서로의 능력을 과시라도 하듯, 서로를 헐뜯기 위해 겉으로 칭찬하듯 말하는 냉소적 표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M과는 거리가 멀다.

※ 삼대(三大):한 가족의 역사에 대한 조명을 통해 1930년대의 시대상을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 낸 리얼리즘 계열의 대표작으로 가족사 소설에 해당된다. 장편 ‘삼대’(조선 일보 1931. 1. 1. ~ 9. 17)는 한말 세대의 보수성과 개화기 세대의 정신적 파탄, 식민지 세대의 진보성으로 대표되는 조(組)․부(父)․손(孫)의 삼대를 통해 세대 간의 단층과 갈등을 보여 주는 동시에, 당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한국 근대사의 변천 과정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문16】  밑줄 친 ㉡을 나타내는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은?
A. 지피지기(知彼知己)
B. 막역지우(莫逆之友)
G. 난형난제(難兄難弟)
M. 천양지차(天壤之差)


㉡:우열을 가리기 힘든 수재(秀才)

G. 난형난제(難兄難弟):인물이나 사물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 ⇨ 伯仲之勢(백중지세), 大同小異(대동소이),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A:남을 알고 자기를 앎.
B:거스림이 없는 매우 가까운 친구
M:하늘과 땅처럼 큰 차이

【문17】  다음 글을 서두로 아래의 글을 연결시키려 한다. 이 중 세 번째의 문장은?
외국인들은 흔히 한국 사람은 표정이 없다 하여, 우리 민족이 감정이 풍부하지 못한 민족이라고 한다.
A. 따라서 외국인들의 평가는 표면만 보고 그 내면까지 지레 짐작하는 장님 코끼리 만지기식의 오류를 범한 것이다.
B. 우리말의 품사 중 형용사가 가장 발달되어 있다는 점 또한 한국인은 결코 감정이 메마른 민족이라고 할 수 없는 근거가 될 것이다.
G. 그러나 우리의 전래 민요나 고전 소설 등을 통하여 볼 때, 우리 민족은 지나치다고 할 정도로 풍부한 감정을 지니고 있는 민족이다.
M. 우리의 전통 연극 양식인 탈춤에 등장하는 탈들의 독특한 표정들은 그러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훌륭한 증거가 된다.


G가 제시된 지문의 반대 의견이고, M이 그 첫째 근거, B가 두 번째 근거이며, A는 전체의 결론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G⇨M⇨B⇨A로 이어져야 문맥상 자연스럽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18~20)
벼는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산다.
㉠햇살 따가워질수록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더 튼튼해진 백성들을 보아라.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
마음들을 보아라.

벼가 춤출 때,
벼는 소리 없이 떠나간다.
㉢벼는 가을 하늘에도
서러운 눈 씻어 맑게 다스릴 줄 알고
바람 한 점에도
제 몸의 노여움을 덮는다.
저의 가슴도 더운 줄을 안다.

벼가 떠나가며 바치는
이 넓디넓은 사랑,
㉣쓰러지고 쓰러지고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이 피묻은 그리움,
이 넉넉한 힘…….

【문18】  윗시에서 형상화되어 있는 ‘벼’의 내면적 덕성과 거리가 먼 것은?
A. 인내(忍耐)
B. 관용(寬容)
G. 겸손(謙遜)
M. 희생(犧牲)


인내:맑게 다스릴 줄 알고, 노여움을 덮는다.
희생:떠나가며 바치는, 쓰러지고 쓰러지고
관용:이 넓디 넓은 사랑, 이 넉넉한 힘

※ 벼:민족과 민중의 삶에 많은 관심을 보여 주는 이성부 시인의 시로 여기서의 ‘벼’는 서로 의지하면서 삶을 꿋꿋하게 일구어 가는 민중들의 생명 의식을 상징한다.

【문19】  ㉠~㉣ 중 ‘벼’를 ‘달관의 경지에 이른 사람’으로 비유하고 있는 것은?
A. ㉠
B. ㉡
G. ㉢
M. ㉣


㉢은 세속을 벗어나 자연의 질서에 순응해 가면서 깨끗하고 맑게 살아가는 벼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문  20】  1연에서 ‘벼’가 우리 인간에게 일깨워 주는 삶의 자세로 알맞은 것은?
A. 상부상조(相扶相助)
B. 은인자중(隱忍自重)
G. 유유자적(悠悠自適)
M. 백절불굴(百折不屈)


1연에서 ‘벼’는 함께 어울려 살면서 햇살(생존을 위협하는 외적 상황)이 따가워질수록, 즉 고난이 닥쳐올수록 서로 힘과 슬기를 모으며 상부상조하는 민중들의 공동체적인 유대에 대한 신뢰를 표현하고 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21~22)
【문21】  윗시의 주제와 의미가 상통하는 것은?
A. 망운지정(望雲之情)
B. 수구초심(首邱初心)
G. 풍수지탄(風樹之嘆)
M. 맥수지탄(麥秀之嘆)


절구(絶句):고향을 두고도 못 가는 인간의 고난과 부자유를 자연과 대조하여 나타낸 두보의 오언 절구로, 주제는 향수(鄕愁)다.

B: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 살던 굴 쪽으로 두고 죽음. 즉,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A:어버이를 그리워하는 마음
G:어버이가 돌아가시어 효도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슬픔
M:멸망한 고국에 대한 한탄

【문22】  ㉠과 ㉡의 뜻을 바르게 풀이한 것은?
A. ㉠ - 희고, ㉡ - 해인고
B. ㉠ - 희요, ㉡ - 해요
G. ㉠ - 해인고, ㉡ - 희고
M. ㉠ - 해요, ㉡ - 희요



【문23】  다음의 ‘증인’이 범하고 있는 오류는?
우리는 몇 년 전 국회 청문회에서 과거의 비리를 밝히기 위해 국회 의원들이 권력층에 있었던 사람들을 증인으로 출두시켜 신문한 적이 있었다. 그 때 어느 증인은 다음과 같은 발언을 하였다.
“내가 입을 열면 엄청난 사태가 벌어질 것입니다. 그러한 사태는 전적으로 당신들의 책임입니다.”
A. 순환 논증의 오류
B. 대중에 호소하는 오류
G.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M. 감정에 호소하는 오류


M:동정이나 연민, 공포나 위협, 사적 관계 등의 감정을 이용하여 자신의 논지를 받아들에게 하는 오류    예) 사장님, 제가 해고당하면 저희 식구들은 모두 굶어 죽습니다.

A:결론에서 주장하고 있는 바를 논거로 제시하는 오류    예) 모든 사람에게 표현의 자유를 무제한 허용하는 것은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된다. 왜냐 하면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자유를 누리는 것은 공동체의 이익을 증진하기 때문이다.

B:합리적 근거가 결여된 주장을 군중 심리, 대중의 편견 등에 호소하거나 어떤 주장의 수용자가 많은 점을 들어 동의를 얻어내려는 오류    예) 이 소설이 가장 좋은 책입니다. 올 상반기 동안 가장 많이 팔린 책이거든요.

G:제한된 정보, 대표성을 결여한 사례, 불충분한 통계 자료 등을 근거로 일반화하는 오류
예) 철수가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볼 때 그는 믿을 수 없는 사람임에 틀림없다.

【문24】  다음은 퇴고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초고이다. ㉠~㉣을 다음과 같이 고쳐 쓸 경우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우리는 광고의 홍수 속에서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식주 전반에 걸쳐 어디에서나 광고에 의해 흘러가고 있다.
광고 회사들끼리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 광고문은 점점 다변화되어 가고 연마되어 세련된다. 이것들은 ㉢ 때론 삶의 청량제 역할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광고가 우리의 생활 깊숙히 침투하여 인간적 유린을 가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것이 인간 현실이다.
우리는 광고 속에 보이는 음식들을 보고 식욕을 느끼게 되고 ㉣ 좋은 옷을 보면 구입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히게 되고 좋은 환경을 보면 필요 이상의 것을 충족하려고 방황한다.
A. ㉠:광고가 의식주 전반의 영역을 지배하고 있다.
B. ㉡:광고물은 점점 다양화되고 연마되어 세련된 모습을 보인다.
G. ㉢:때로는 삶의 청량제 역할을 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M. ㉣:좋은 옷을 보면 구입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히나


㉣:좋은 옷을 보면 구입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히며 *문맥상 역접이 아닌 순접의 연결 어미로 이어져야 하되, ‘사로잡히게 되다’라는 이중 피동의 표현은 피하는 것이 좋다.

【문25】  밑줄 친 부분의 용어를 화살표와 같이 고쳤을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개전(改悛)의 정()이 현저한 모범수들을 특사(特赦)하기로 했다.
뉘우치는 빛이 뚜렷한 모범수들을 특사(特赦)하기로 했다.
B. 이 달 말일까지는 이 집을 김현명 씨에게 명도(明渡)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이 달 말일까지는 이 집을 김현명 씨에게 빌려 주시기 바랍니다.
G. 이 저수지의 규모가 꽤 커 보이는데 몽리(蒙利) 면적은 얼마나 될까요?
⇨ 이 저수지의 규모가 꽤 커 보이는데 이익을 보는 면적은 얼마나 될까요?
M. 이 살인 사건의 검안(檢案)은 그 방면의 전문가인 명제민 검사가 하십시오.
⇨ 이 살인 사건의 상황 조사는 그 방면의 전문가인 명제민 검사가 하십시오.


B. 명도(明渡):건물이나 토지 따위를 남에게 넘겨 줌.
A. 개전(改悛):잘못을 뉘우치고 마음을 바르게 고쳐 먹음.
G. 몽리(蒙利):이익을 얻는다는 뜻으로 저수지나 보 따위 수리 시설의 혜택을 입음.
M. 검안(檢案):형사 소송의 수사나 검증(檢證)에 관하여, 검찰관이나 사법 경찰관의 의뢰에 의해서 특별한 지식, 경험을 가진 사람이 임의로 하는 감정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