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2월 5일에 시행한 충청남도 9급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다음은 <기미독립선언서>의 일부이다. 다음 제시문의 괄호 ㉠과 ㉡안에 각각 들어갈 낱말을 순서대로 작성한 것을 고르시오.
오등(吾等)은 자(玆)에 아(我) 조선(朝鮮)의 ( ㉠ )과 조선인(朝鮮人)의 ( ㉡ )임을 선언(宣言)하노라.
차(此)로써 세계만방(世界萬邦)에 고(告)하야 인류평등(人類平等)의 대의(大義)를 극명(克明)하며, 차(此)로써 자손만대(子孫萬代)에 고(誥)하야 민족자존(民族自存)의 정권(正權)을 영유(永有)케 하노라.
① ㉠ 독립국(獨立國) ㉡ 민주인(民主人)
② ㉠ 민주국(民主國) ㉡ 자주민(自主民)
③ ㉠ 서방국(西方國) ㉡ 자주민(自主民)
④ ㉠ 독립국(獨立國) ㉡ 자주민(自主民)


2. 다음 글의 설명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영화는 스크린에서 평면적으로 형상화되고, 꼭 같은 것을 계속 반복할 수 있지만, 연극은 무대에서 입체적으로 펼쳐지며 아무리 꼭 같은 배우와 대본으로 공연하더라도 엄밀히 말하면 일회성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① 비교
② 대조
③ 서사
④ 인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 것으므로 대조가 된다.

3. 다음 시조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창(窓) 내고쟈 창(窓)을 내고쟈 이 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고모장지 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암돌져귀 수돌져귀 목걸새 크나큰 쟝도리로 뚱닥 바가 이 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잇다감 하 답답 제면 여다져 볼가 하노라.
① 양반 사대부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다.
② 열거를 통해 화자의 감정을 해학적으로 표현했다.
③ 불가능한 상황을 기발하게 표현한 재치를 보이고 있다.
④ 서민적인 소재를 통하여 소박한 분위기를 만들고 있다.


이 작품은 사설시조이며 일상용어를 나열해 평민들의 정서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양반과는 관계가 없다. / ② 고모장지, 세살장지 등 문 종류를 나열하고 있다. ③ 가슴에 창을 낸다는 발상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을 주관적으로 변용한 것이다. ④ 일상 생활 용어를 주로 쓰고 있다.

4. 다음 중 바르게 표현된 것은?
① 미쟁이
② 소금장이
③ 유기쟁이
④ 멋쟁이


④ 습관이나 동식물은 접미사를 ‘쟁이’로 쓴다. 예) 심술쟁이, 욕쟁이
① 손으로 익힌 기술은 ‘장이’로 쓴다. 예) 미장이, 칠장이, 간판장이
② 동식물은 ‘쟁이’로 쓴다. 예) 소금쟁이, 담쟁이 덩굴
③ 기술은 ‘쟁이’다 : 유기장이

5. 다음에 제시된 고전 시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善化公主니믄
그즈지 얼어두고
맛둥바알 
밤에 몰 안고 가다
① 장르는 향가이며 주로 신라시대에 많이 불리었다.
② 구전되다가 조선 시대 한글 창제와 더불어 문자로 기록되었다.
③ 백제 무왕과 관련된 설화를 가지고 있다.
④ 제목은 <서동요>로 동요로 불려지기도 하였다.


구전되다 한글로 정착된 것은 구비문학인 고려가요에 대한 설명이다. 향가는 당대에 향찰 문자로 표기된 기록문학이다.

④ 선화공주를 유혹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퍼뜨린 참요이기도 하다.

6. 아래의 시를 공익 광고의 일부로 쓰고자 할 때, 광고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우리가 눈발이라면
허공에서 쭈빗쭈빗 흩날리는
진눈깨비는 되지 말자.
세상이 바람 불고 춥고 어둡다 해도
사람이 사는 마을
가장 낮은 곳으로
따뜻한 함박눈이 되어 내리자.
우리가 눈발이라면
잠 못 든 이의 창문가에서는
편지가 되고
그이의 깊고 붉은 상처 위에 돋는
새살이 되자.
① 재난 극복에 모두 동참합시다.
②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실천이 필요합니다.
③ 기초 질서 확립이 선진국을 만듭니다.
④ 나라의 미래는 청소년 보호에 달려 있습니다.


안도현 시인의 작품이다. 낮은 곳으로 내려가 따뜻한 함박눈이 되자고 하는 것으로 보아 어려운 이웃과 삶을 나누자는 권유로 봐야 한다.

7. 임진왜란 후 17C 초부터 19C 말까지의 국어를 근대국어라 한다. 이 시기 국어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바른 것은?
① 방점 체제가 철저히 지켜졌다.
② 한글 사용의 폭이 좁아졌다.
③ 모음 조화 현상이 전대보다 더 엄격히 지켜졌다.
④ 문자 'ᅌ', 'ᅙ', 'ᅀ'이 사라져 문자체계에 변화가 생겼다.


조선 전기에 비해 사라진 문자가 많았다.

① 방점 자체가 임진왜란 이후에 없어졌다.
② 한글로 국문소설이 나오는 등, 한글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③ 모음조화 현상이 근대 국어 시기에는 많이 파괴된다. 모음조화가 엄격히 지켜진 시기는 조선 전기였다.

8. 다음 중 독음으로 바른 것은?
① 干涉 - 간섭
② 賠償 - 보상
③ 賃借料 - 임대료
④ 從屬 - 종주


① 방패 간, 물 건널 섭
② 배상 : 물어줄 배, 갚을 상 <참고> 補償(옷 기울 보, 갚을 상)
③ 임차료 : 품팔이 임, 빌리다 차, 생각할 료
④ 종속 : 따를 종, 속할 속 문

9. 다음 글에 대한 구절 풀이가 잘못된 것은?
二月ᄉ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ᄉ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즛이샷다
아으 動動다리
① 보로매 – 보름에
② 노피 현 - 높이 켜 놓은
③ 다호라 – 같구나
④ 즛이샷다 – 것이시다


얼굴 모습이시구나 / 고려가요 <동동>이다.
본문에서 ‘높이 켠 등불’은 자신의 임을 가리키는 비유어이다.

10. 다음 중 규정과 어휘가 맞지 않는 것은?
① 자장면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다.
② 쌍둥이는 얼굴이 서로 틀리다.
③ 갓길 없음
④ 아버지의 죽음으로 집이 풍비박산이 났다.


차이가 난다는 의미로는 ‘다르다’가 적절하다.

11. (가)와 (나)의 <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하 노피곰 도다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데를 드대욜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어느이다 노코시라
어긔야 내 가논 데 날 졈그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나) 서리 하늘에 달 밝은데 은하수 빛나,
이국땅 머무는 나그네 귀향 생각 깊도다.
긴긴 밤 홀로 앉아 시름 이기지 못하는데
홀연 들리나니 이웃 아낙 다듬이 소리
바람결 따라서 끊일 듯 이어지며
별들이 기울도록 잠시도 멎지 않네.
고국을 떠난 후로 저 소리 못 듣더니,
먼 이역땅에서 그 소리 다시 듣네.
① 지(가)의 달은 기원의 대상물이다.
② 지(가)의 달은 광명의 이미지를 지닌다.
③ 지(나)의 달은 시적 화자의 객수를 불러 일으킨다.
④ 지(나)의 달은 현실 고뇌의 위기를 잊기 위한 몰입의 대상이 되고 있다.


(나)의 달은 고향을 그리워 하게 하는 달이다.
(가)는 백제 가요인 <정읍사>이고 (나)는 발해의 작가인 양태사의 <야청도의성>이라는 한시다. (가)는 길 떠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노래이고, (나)는 타향에서 고향을 그리워 하는 노래이다.

12. 다음 중 고사성어의 의미가 다른 하나는?
① 고식지계(姑息之計)
② 만시지탄(晩時之歎)
③ 동족방뇨(凍足放尿)
④ 하석상대(下石上臺)


만시지탄은 때 늦은 후회를 말한다.
나머지는 모두 임시대책, 임시방 방편을 가리키는 말이다.
③ 언 발에 오줌 누기
④ 아랫돌 빼서 위에 괴기

13. 다음의 문장 중, <보기>의 밑줄 친 예가 사용된 것은?
우리말에는 감각어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 우리 민족은 본래 풍류를 즐기는 낙천적인 민족으로, 정서적이고 감각적인 편이었다. 이러한 특징이 언어에 반영되어 우리말에 감각적인 어휘가 풍부하게 발달하게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같은 감각어는 정서적 유사성(類似性)에 의해 비유 표현으로까지 전용(轉用)되어 일반 언어 생활에서 애용되기도 한다.
① 이제 보니 그 친구 싱겁기 짝이 없군!
② 그 사람은 손버릇이 아주 사나워 조심해라.
③ 요새는 노견이라는 말 대신 갓길이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군.
④ 파르스름한 색이 지천으로 깔리는 봄이 왔어.


싱겁다는 원래 음식 맛을 감각적으로 표현하는 말인데 성격을 나타내는 말로까지 응용이 되어서 쓰이게 되었다.

14. 조선 시대의 <용비어천가>에 대한 사실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세종대왕이 권근, 정도전 등에게 명하여 만들었다.
② 궁중에서 연주되었던 악장의 대표적 작품이다.
③ 주로 개국공신의 업적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④ 조선건국의 당위성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조선 왕조를 만든 이성계의 집안을 찬양한 내용이다. 즉, 육조라 하여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의 공적을 찬양한 작품이다.

15. 다음 중 현대소설의 구성상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분석적 구성
② 연대기적 구성
③ 역순행적 구성
④ 필연적 구성


연대기적 구성이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일을 순서대로 기록한 구성 방식을 말한다. 즉, 순행식 구성을 가리킨다. 연대기적 혹은 일대기적 구성은 고대소설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 방식이다.

16. 다음 글의 주제를 고르시오.
스포츠는 인류의 삶과 역사와 뗄래야 뗄 수없이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스포츠의 철학은 곧 삶의 철학과 직결되어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깨달은 것은 앞으로 스포츠란 것이 한국인의 삶에 있어서 실로 지대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는 점이다. 2002 월드컵이 보여주듯이 이제 스포츠야말로 외교, 통상, 문화교류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 할수록 여가 생활을 즐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 것이고 그 여가 선용의 가장 큰 부분을 스포츠가 차지할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인들이 삶에 있어서 가장 즐기고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의미를 부여할 것, 역시 스포츠가 될 것은 쉽사리 예측할 수 있다.
① 운동의 효용
② 운동과 신체건강
③ 스포츠 외교의 중요성
④ 스포츠의 중요성


문제복원이 미비하긴 하지만 주어진 지문에서 보면 스포츠가 우리 삶과 밀접한 관련을 띠고 있다는 이야기다.

17. "직접적으로 오가지 않아 관계가 끊어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의 예로 맞는 것은?
① 내 코가 석 자
② 불 없는 화로
③ 가는 날이 장날
④ 가게기둥 입춘


불 없는 화로, 딸 없는 사위 :직접적인 관계가 끊어져 그다지 긴하지 않게 된 것을 말한다.
① 자신의 처지가 더 어렵다는 의미
③ 운수가 사나워 일이 잘 되지 않을 때
④ 큰 기와집에나 붙이는 입춘대길이 가게문에는 어울지지 않는다는 것. 즉, 격에 맞지 않는 것을 말한다.

18. 언어의 역사성으로 알맞은 것은?
① 언어는 형식과 내용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기호이다.
② 언어의 형식과 내용은 필연적인 관계로 묶여 있다고 볼 수 없다.
③ 언어는 연속적인 것을 불연속적인 것으로 나누어 표현할 수 있다.
④ 언어는 고정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 변화, 사멸의 과정을 통해 변화했다.


① 언어의 기호성
② 자의성
③ 분절성(불연속성)

19. 고려시대 문학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한림별곡은 경기체가로 서민층에서 유행했다.
② 청산별곡과 같은 3음보 율격의 고려가요가 존재하였다.
③ 고려후기에 이르러 시조가 창작되었다.
④ 가전체 문학은 계세징인이 주제였다.


경기체가는 귀족층의 노래였다. 고려가요가 평민층의 것이었다.

20. 다음 중, <부치다>의 사용이 잘못된 것은?
① 빈대떡을 부치다.
② 싸움은 말리고 흥정은 부쳐야 한다.
③ 편지 부치러 우체국에 갔다.
③ 힘이 부쳐서 일을 다하지 못했다.


‘흥정을 붙이다’ (붙게 하다)가 맞다. 예) 별명을 붙이다, 우표를 붙이다, 취미를 붙이다, 싸움을 붙이다, 불을 붙이다.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