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4월 30일에 시행한 충청남도 9급 공무원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다음 중 고려 가요에 대한 바른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아름다운 우리말 표현이 많다.
② 조선 시대 문헌에 기록되었다.
③ 작자 미상의 작품이 많은 편이다.
④ 대표적 작품은 ‘서동요’이다.


2. 다음 중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나는 아침과 점심을 먹지 못해 가 너무 고팠다.
그 섬에는 일주일에 두 번씩만 가 들어갈 뿐이다.
② 상추가 서리를 맞아서 그런지 생기가 하나도 없다.
참외밭의 원두막은 서리를 막아 주는 주인의 요새이다.
③ 그 회사 사장은 사람 보는 이 정확하다.
화가 난 다혜는 을 부라리며 영수에게 대들었다.
④ 길이가 한 이나 됨 직한 잉어를 서너 마리나 잡았다.
상체를 로 가리고 앉아서 생김새를 전혀 알아볼 수 없었다.


3. 다음 밑줄 친 부분이 바른 것은?
① 가족들이 모두 오순도순 모여 살았다.
② 일이 익숙치 않아 자꾸 실수만 저질렀다.
윗층에서 들리는 소음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었다.
④ 탁자 위에 놓인 재털이에 담뱃재가 가득했다.


4. 다음 밑줄 친 부분에 쓰인 수사법과 동일한 것은?
최고 문화로 인류의 모범이 되기로 사명을 삼는 우리 민족의 각원(各員)은 이기적 개인주의자여서는 안 된다. 우리는 개인의 자유를 극도로 주장하되, 그것은 저 짐승들과 같이 저마다 제 배를 채우기에 쓰는 자유가 아니요, 제 가족을, 제 이웃을, 제 국민을 잘 살게 하기에 쓰이는 자유다. 공원의 꽃을 꺾는 자유가 아니라 공원에 꽃을 심는 자유다.
①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②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③ 집은 연못가 딸기밭 속에 있습니다. / 거기엔 꽃의 가족들이 살고 있습니다.
④ 버려진 땅에 돋아난 풀잎 하나에서부터 / 조용히 발버둥치는 돌멩이 하나에까지 / 이름도 없이 빈 벌판과 빈 하늘에 뿌려진 / 저 혼에까지 저 숨결에까지 닿도록


5. 다음 중 밑줄 친 단위어의 사용이 맞는 것은?
네달을 기다렸다.
② 할머니네 집에서 강아지 네 마리를 기른다.
③ 시장에 가서 돼지고기 넉 근을 사왔다.
④ 옷감 네 자로 예쁜 옷을 만들었다.


6. 다음 글에 나타난 지은이의 생각을 잘못 제시한 것은?
실옹 왈 “하늘이 낳고 땅이 길러주는 바 혈기(血氣)를 가진 것은 모두 똑같은 사람이며, 무리 중에서 뛰어나 한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모두 똑같은 임금이며, 여러 개의 성문을 만들고 호(濠 : 성 주위를 두른 못)를 깊이 파서 강토를 조심스럽게 지키는 것은 모두 똑같은 나라이며, 장보(章甫: 은나라 때의 관)나 위모(委貌: 주나라 때의 갓)건 문신(文身: 몸에 그림을 그리는 오랑캐 풍속)이나 조제(雕題 :이마에 그림을 그리는 오랑캐 풍속)건 간에 모두 똑같은 습속이다. 하늘에서 보면 어찌 안과 밖의 구분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각자 자기 나라 사람을 친하게 여기고, 자기 임금을 높이며, 자기 나라를 지키고 자기 풍속을 편안하게 여기니, 그것은 중국과 오랑캐가 마찬가지다.
① 인간으로서 각자가 지닌 존엄성을 긍정하고 있다.
② 각각의 사물이 지닌 상대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③ 왕권 중심의 중세적인 지배 체제를 비판하고 있다.
④ 민족주의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7. 다음 글의 ㉠~㉣에 들어갈 말을 차례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벌리다’와 ‘벌이다’는 어형과 의미가 유사한 측면이 있어 혼동되어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둘은 의미와 쓰이는 문맥이 구별된다. 즉 ( ㉠ )은 ‘일을 시작하거나 판을 펼치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싸움을 ○○○’, ‘일을 ○○○’, ‘자판을 ○○○’와 같은 경우에 쓰이고, ( ㉡ )은 ‘간격을 넓히거나 우므러진 것을 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리를 ○○○’, ‘자루를 ○○○’와 같은 경우에 쓰인다. 따라서 ‘논쟁을 ( ㉢ )’, ‘잔치를 ( ㉣ )’라고 쓰는 것은 잘못이다.
① 벌이다-벌리다-벌리다-벌리다
② 벌이다-벌리다-벌이다-벌이다
③ 벌리다-벌리다-벌이다-벌리다
④ 벌리다-벌이다-벌리다-벌이다


8. 다음 글과 관계있는 전개 방식은?
무명 겹저고리를 벗어 소녀의 어깨를 싸 주었다. 소녀는 바에 젖은 눈을 들어 한 번 쳐다보았을 뿐, 소년이 하는 대로 잠자코 있었다. 그리고는 안고 온 꽃묶음 속에서 가지가 꺾이고 꽃이 일그러진 송이를 골라 발 밑에 버린다. 소녀가 들어선 곳도 비가 새기 시작했다. 더 거기서 비를 그을 수 없었다.
① 분석
② 과정
③ 대조
④ 서사


9. 다음 글과 관련된 한자 성어는?
황작하방래거비(黃雀何方來去飛)
참새야 어디서 오가며 나느냐
일년농사부증지(一年農事不曾知)
일 년 농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환옹독자경운료(鰥翁獨自耕耘了)
늙은 홀아비 홀로 갈고 맸는데
모진전중화서위(耗盡田中禾黍爲)
밭의 벼며 기장을 다 없애다니.
① 가렴주구(苛斂誅求)
② 아전인수(我田引水)
③ 일어탁수(一魚濁水)
④ 연목구어(緣木求魚)


10.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밑줄 친 부분 중 이런 원칙이 적용되지 않은 것은?
① 청군 백군
② 애쓴 만큼 얻는다.
③ 네가 뜻한 를 알겠다.
④ 회의에 참석한 사람은 단시 셋 이다.


11. 다음 중 밑줄 친 바가 의미하는 것은?
이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늘 신웅(神雄)에게 사람 되기를 빌었다. 때마침 신(神)이 신령한 쑥 한 심지와 마늘 스무 개를 주면서 말했다.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 날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것이다.”
곧 사람의 모습을 얻게 될 곰과 범은 이것을 받아서 먹었다. 삼칠일(三七日)동안 몸을 삼가자 곰은 여자의 몸이 되었다.
① 초월 의지
② 통과 의례
③ 종교 의식
④ 신성 부여


12. 다음 밑줄 친 부분의 사전적 의미로 알맞은 것은?
속마음은 워낙 다르면서도 밖으로 입에 나타낼 때에는 모두 한 ‘색’인 듯하다. 그래서 공석이나 회합에 조정 간의 이야기가 나오면 일체 모난 말을 하지 않고 대답하기 어려우면 곧 익살과 웃음으로 얼버무려 버린다. 그러므로 상류 인사들이 모인 곳에는 오직 당(堂-대청)에 가득한 홍소(哄笑)가 들릴 뿐이로되, 정작 정치 ․법령 ․시책을 할 때에는 오직 이기만을 도모하고 참으로 나라를 근심하여 공공에 봉사하는 사람은 적다.
-이중환의 ‘택리지’
① 쓴웃음
② 비웃음
③ 아첨하는 웃음
④ 떠들썩한 웃음


13. 다음 글이 말하고 있는 미적 범주로 알맞은 것은?
한국 해학의 멋은 때로는 이솝우화처럼 신랄하기도 하고, 몰리에르의 연극처럼 시속적(時俗的)이기도 하며, 데카메론의 염정(艶情)과 선미(禪味) 풍기는 쇄탈(灑脫)도 있다. 한국인이 공통적으로 허허 웃는 김삿갓, 봉이 김선달, 정수동, 황진이의 행동까지도 이것이 아닌가 한다.
양반을 조롱하는 서민의 감정 표현이라 하는 사설도 해학(諧謔) 섞인 선비들의 글 속에서 우러나온 것이 아닌가 한다. 이상재(李商在) 선생이 일제(日帝)의 손에 잡혀 감옥살이를 하시다가 출옥하니, 그 제자들이 위문 와서 얼마나 고생하셨느냐 하였다. 그때 이상재 선생 말씀이 “그래. 자네들은 얼마나 호강을 했는가.”하는 반문이었다. 말 속에 뼈가 있어 삼천리 강산이 온통 감옥인데, 너희들 무슨 말을 하느냐는 따끔한 질책이 아니고 무엇이었겠는가? 우스갯소리는 여유와 뼈대 없이 나올 수는 없다. 신음과 저주에는 독설이 있을 수 있으나, 해학(諧謔)에 미치지 못한다.
① 숭고미
② 우아미
③ 비장미
④ 골계미


14. 다음 중 밑줄 친 단어의 표기가 올바른 것은?
① 넋을 잃고 걷다가 그만 벽에 머리를 부딛히고 말았다.
넉넉지 않은 환경에서도 소년은 웃음을 잃지 않았다.
③ 어머니의 속을 썩힌 저의 지난날이 너무도 부끄럽습니다.
알맞는 사람이 나타나기 전까지 직원 채용을 미룰까 합니다.


15. 다음 중 한자의 독음이 맞는 것은?
倉廩-懦弱-示唆-廓然
① 창고-유약-시사-확연
② 창름-나약-시사-확연
③ 창겸-유약-시준-곽연
④ 창름-나약-시준-확연


16. 다음 글과 관계있는 시점으로 알맞은 것은?
세 처녀도 그와 같이 몸을 흔들었다.
이때에 네 사람의 가슴속에는 똑같은 ‘나 할 일’이 번개같이 지나간다. 너와 나라는 차별이 없이 온통 한 몸, 한마음이 된 듯하였다.  - 이광수의 ‘무정’
① 1인칭 주인공 시점
② 1인칭 관찰자 시점
③ 전지적 작가 시점
④ 3인칭 관찰자 시점


17. 다음 글과 같이 인간의 불효에 대해 말한 동물은?
사람들은 만물 중에 제가 제일이라 하지마는, 理)에 어기어져서 하나도 그 취할 것이 없소. 그 행실을 살펴볼 지경이면 다 천리(天 사람들의 옳지 못한 일을 모두 다 들어 말씀하려면 너무 지루하겠기에 다만 사람들의 불효한 것을 가지고 말씀할 터인데, 옛날 동양 성인들이 말씀하기를 효도는 덕의 근본이라, 효도는 일백 행실의 근원이라, 효도는 천하를 다스린다 하였고, 예수교 계명에도 부모를 효도로 섬기라 하였으니, 효도라 하는 것은 자식된 자가 고연(固然)한 직분으로 당연히 행할 일이올시다.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① 여우
② 호랑이
③ 까마귀
④ 파리


18. 다음 중 밑줄 친 ‘눈’의 상징적 의미는?
은 살아 있다.
죽음을 잊어버린 영혼(靈魂)과 육체(肉體)를 위하여
눈은 새벽이 지나도록 살아 있다.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눈을 바라보며
밤새도록 고인 가슴의 가래라도
마음껏 뱉자.

 - 김수영의 ‘눈’
① 순결한 생명력
② 냉엄한 현실
③ 암울한 시대
④ 자유로운 생명력


19. 다음 중 ㉮와 ㉯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 뉘 집을 들어서면은 바녁 아니 맞으리.

㉯ 바람 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이 오면 술 익은 초당마다 정이 더욱 익으리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 아니 바빠라.

 -이호우의 ‘살구꽃 핀 마을’
       ㉮                 ㉯
① 전체적 정경   구체적 정경
② 서경적            서정적
③ 자연미            인간미
④ 외면적            내면적


20. 다음 작품이 창작된 시기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① 서구의 문예 사조를 수용하면서, 전통적인 문학을 도외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② 이 시기에는 우리말이 지는 아름다움을 더욱 갈고 닦으려는 순수시 운동이 있었다.
③ 이 시기에는 우리말을 사용하지 못하여 작가들의 활동은 위축되었다.
④ 전통적인 서정시와 모더니즘 경향의 시가 동시에 등장했으며, 소설은 6․ 25가 주요 소재였다.




전체정답

12345678910
11121314151617181920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