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8월 9일에 시행한 국가직 7급 공무원 시험 사회학 기출문제입니다.


문  1. 관료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베버(Weber)는 관료제 조직의 강점을 고도의 합리성과 효율성이라고 보았다.
② 머튼(Merton)이 언급한 ‘의례주의(ritualism)’는 관료제의 역기능 중 하나인 ‘목적과 수단의 전도 현상’을 잘 보여준다.
③ 베버(Weber)는 관료들이 교묘하게 불필요한 일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자신의 부하직원들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④ 관료제는 합리성을 제고하려는 과정에서 비인간화와 그에 따른 인간 소외현상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문  2. 밑줄 친 ‘이것’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한 사회의 불평등구조는 고정불변이 아니라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 불평등구조 속에 속해 있는 개인이나 집단의 사회적 위치도 변하게 마련이다. 이처럼 사회적 불평등구조 속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위치가 변하는 현상을 ‘이것’이라고 한다.
① ‘이것’은 세대 간에는 이루어지지 않고 세대 내에서만 가능하다.
② ‘이것’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사회를 폐쇄형 사회라고 한다.
③ 세습지위가 강조되는 사회에서 ‘이것’이 잘 이루어진다.
④ ‘이것’이 활발한 사회에서는 계층 위계가 사라진다.


문  3. 머튼(Merton)의 아노미에 대한 개인의 적응양식 중 ‘불법 인터넷 사이트 운영으로 수입을 얻는 자’와 ‘승진할 가능성이 전혀 없는데도 불구하고 재미없는 일을 계속하는 직장인’에 해당하는 유형이 순서대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반역형-의례형
② 혁신형-의례형
③ 혁신형-동조형
④ 반역형-동조형


문  4. 미헬스(Michels)의 ‘과두제 철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규칙준수가 궁극적으로 조직목표에 우선할 수 있다.
② 관료들은 문서화된 규칙과 절차를 엄격하게 따르도록 훈련된다.
③ 다수결의 의사결정과정에 따른 참여민주제도를 의미한다.
④ 권력이 조직상층부 소수의 수중에 더욱 집중된다.


문  5. 낙인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탈행동은 일차적 일탈과 이차적 일탈로 구분할 수 있다.
② 살인과 강간 같은 행위들은 문화적 맥락을 불문하고 본질적으로 일탈적인 것이다.
③ 범죄에 대한 정의(definition)에는 권력이 작용하므로 낙인은 그 사회의 권력구조를 드러낸다.
④ 일탈은 개인이나 집단의 특성이 아니며,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한다.


문  6.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문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 사회로 가고 있다.
② 저출산으로 인해 고령화 지수가 높아지고 있다.
③ 합계출산률이 1.5이하로 총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④ 노인복지를 위한 사회적 부담과 노년부양비가 높아지고 있다.


문  7. 신자유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공기업 민영화는 신자유주의적인 정책 중의 하나이다.
② 재정축소, 복지감축 등과 연관되는 통화주의를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삼는다.
③ 계급타협에 바탕을 두는 사회적 조합주의(corporatism)를 지향한다.
④ 정리해고제 또는 근로자 파견제 등의 도입은 신자유주의적인 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문  8. 종교와 관련된 고전 사회학자들의 주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뒤르켐(Durkheim)에 의하면, 종교의 핵심은 집단 구성원들 간의 결속을 높이는 것이다.
② 맑스(Marx)에 의하면, 종교는 인간 소외의 한 형태이다.
③ 베버(Weber)에 의하면, 종교는 사회변동의 주요 동인이 될 수 있다.
④ 말리노프스키(Malinowski)에 의하면, 주술적인 요소가 모든 종교의 본질이다.


문  9. 정보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쉴러(Schiller)는 자본의 논리가 여전히 정보의 창출이나 분배, 기술혁신 등에 작용하는 기본 동력이기 때문에 정보사회는 결코 새로운 사회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② 오늘날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정보기술의 특징은 ‘소형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로 요약할 수 있다.
③ 정보화로 인한 사회의 성격 변화에 대한 논쟁은 ‘사회구조’와 ‘사회변동’에 대한 전통적인 사회학적 관심의 연장선 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④ 다니엘 벨(Daniel Bell)은 매체의 탈대중화, 탈대량생산, 노동의 탈동시화, 의사결정의 탈중앙집중화, 초국적 조직망의 확산 등과 같은 일련의 변화와 더불어 정보사회가 도래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문 10. 사회변동과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스펜서, 콩트, 맑스 등은 진화적 관점에서 사회의 변동을 보았다.
② 순환이론에서는 엘리트와 비엘리트 간에 권력의 순환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③ 최근에는 사회의 발전이 서구중심의 단선적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는 주장이 관심을 끌고 있다.
④ 사회변동에서는 기술적 요인에 비해 문화적 요인의 변화 속도가 느리다.


문 11. 사회학의 주요 개념과 이를 주장한 사회학자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유기적 연대-뒤르켐(Durkheim)
② 이념형-베버(Weber)
③ 실증주의-짐멜(Simmel)
④ 하부구조-맑스(Marx)


문 12.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언어와 몸짓 등 의사소통을 통한 실재의 구성에 대한 관심
② 끊임없는 ‘마주침’이 일어나는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
③ 사회구조와 권력이 개인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한 관심
④ 사람들이 사회세계를 해석하는 방식과 대상에 부여하는 의미에 대한 관심


문 13. 문화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문화지체’란 물질문화의 변화 속도를 정신문화가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을 지칭한다.
② ‘문화적 상대주의’란 각 사회의 문화가 나름대로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인정하는 시각이다.
③ ‘자민족중심주의’란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④ ‘하위문화’란 사회구성원들 중 일부 집단에 의해 공유되는 문화로서 전체 문화에 비해서 수준이 떨어지는 문화이다.


문 14. 사회집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원초집단의 예로는 가족, 어린이 놀이집단, 친구집단 등을 들 수 있다.
② 2차집단은 익명성, 인격성, 가치지향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③ 내집단은 집단이 설정한 경계에 따라 한 개인이 속해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이다.
④ 소집단은 구성원이 소수이나 그들간의 관계는 원초적일 수도 있고 2차적일 수도 있다.


문 15. 어떤 상품이나 유행, 스타일 등이 지배적인 국가로부터 종속시장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지배국가의 문화적 가치와 신념, 관례에 의해 유지되고 또 이를 보장하는 특정 형태의 수요와 소비를 창출하게 되는 방식을 의미하는 용어는?
① 문화적 지배주의
② 문화적 제국주의
③ 문화적 통합주의
④ 문화적 상대주의


문 16. 사회학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상징적 상호작용론이란 용어는 블루머(Blumer)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나, 이론적 틀은 그의 스승인 미드(Mead)에 의해 정립되었다.
② 현상학적 접근은 후썰(Husserl)의 현상학에 호만스(Homans)의 행위론을 결합시켜 모스(Mauss)에 의해 발전되었다.
③ 하버마스(Habermas)와 밀즈(Mills)는 사회체계론을 주장하였으며, 상호의존되어 있는 여러 부분들이 균형을 이루려는 경향을 강조하였다.
④ 머튼(Merton)은 사회의 모순과 구조적 변화가 기존의 공유가치들 또는 규범구조들을 깨뜨려 새로운 사회체계를 발전시킨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문 17. “관료적 위계서열 조직체 안에서 개인들은 능력이 있는 한 승진하지만 사실상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재능과 능력을 넘는 지위에까지 이른다. 결과적으로 모든 피고용인이 자신의 무능력 수준까지 승진한다”는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① 피터(Peter)의 원리
② 차일드(Child)의 전략적 선택
③ 파킨슨(Parkinson)의 법칙
④ 베블렌(Veblen)의 훈련된 무능력


문 18.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계급과 계층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계층은 불평등과 서열을 분석적인 필요에 따라 통계적으로 파악하고 구분한 범주이다.
② 계급은 지배-피지배관계나 적대관계 같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집단의식을 형성하거나 조직을 이루어 집단적인 행동을 벌이는 주체나 세력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③ 맑스가 말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계급은 자본가계급, 농민계급, 노동자계급이다.
④ 계급은 주로 경제적인 불평등이 구분기준이 되는 반면, 계층은 다차원적인 불평등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문 19. 다음 두 사례 각각에 해당되는 개념을 바르게 묶은 것은?
(가)가수 김씨는 외국공연을 하는 중에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연락을 받았다. 외국에서 공연을 계속하자니 불효하는 것 같고, 바로 돌아가자니 자신의 공연을 예매한 사람들의 신뢰를 깨뜨리는 것 같아 고민이다.
(나)중학생인 태민이는 옷을 고를 때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이 입고 다니는 옷과 비슷한 것을 선택해서 입는다.
       (가)       (나)
① 역할긴장  외집단
② 역할긴장  준거집단
③ 역할갈등  외집단
④ 역할갈등  준거집단


문 20. 라이트(Wright)의 계급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자원에 대한 통제는 세 차원이 있는데, 자본통제, 생산수단통제, 노동력통제이다.
② 자본가 계급과 노동자 계급 사이에 관리자나 화이트칼라 노동자 등과 같이 애매한 지위를 가진 집단이 있는데, 이는 중간계급으로서 양극화의 대상이 된다.
③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계급 외에는 권위관계, 숙련수준이나 전문기술의 소유 여부에 따라 계급 위치가 결정된다.
④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지식 및 숙련 노동자는 특정한 형태의 권력을 행사하며, 사용자는 그들의 협력과 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에 적합한 보상을 하게 된다.









문제번호 정답 문제번호 정답 문제번호 정답 문제번호 정답
1 ③  6 ③  11 ③  16 ① 
2 ②  7 ③  12 ③  17 ① 
3 ②  8 ④  13 ④  18 ③ 
4 ④  9 ④  14 ②  19 ④ 
5 ②  10 ②  15 ②  20 ②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