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4월 25일에 시행한 국가직 9급 공무원 시험 한국사 기출문제입니다.


【문 1】다음은 선사 시대의 유적지들이다. 이 시대에 관련된 사실로 적합한 것은? 
· 단양 금굴    · 웅기 굴포리   · 상원 검은모루 동굴 
· 공주 석장리  · 연천 전곡리   · 요령 금우산 동굴
①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토기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②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영혼 숭배나 조상 숭배가 나타났다.
③ 가족 단위로 무리를 지어 이동하며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생활하였다.
④ 잉여 생산물의 축적과 사적 소유로 인해 빈부의 차이와 계급이 발생하였다.


구석기 시대에는 가족 단위의 무리를 이루어 떠돌아 다니는 무리 생활을 하였으며, 동굴에서 살거나 강가에서 막집을 짓고 살았는데, 모든 사람이 평등한 공동체적 생활을 영위하였다.

【문 2】다음 사실은 철기문화를 가진 어느 사회에 대한 설명이다. 이 사회에 관해 맞는 사실은 어느 것인가? 
소도라는 별읍에는 천군이 있어 농경과 종교에 대한 제례를 주관하였다.
① 왕은 중앙을, 가(加)들은 사출도를 다스렸다.
②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고 족외혼을 엄격히 지켰다.
③ 김제 벽골제 등 저수지가 많이 만들어져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④ 연나라와 대립할 정도로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둔 강력한 국가였다.


보기는 삼한에 대한 설명으로서, ①은 부여, ②는 동예, ④는 고조선에 관한 사항이다. ③ 삼한은 철제 농기구의 사용으로 농경이 발달하였고, 벼농사도 널리 행하여졌다.

【문 3】다음 중 발해의 정치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당의 3성 6부제를 받아들였으나 운영하는 방식은 달랐다.
② 발해는 지방의 통치를 위해 9주 5소경 제도를 사용하였다.
③ 국가의 중대사는 선조성과 중대성에 모여서 회의를 하여 결정하였다.
④ 발해의 6부는 당의 관제를 모방하여 이, 호, 예, 병, 형, 공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① 3성 6부 체제이지만 당과는 달리 정당성 아래에 선조성과 중대성을 두어 6부를 양분하여 통제하였다.
② 5경 15부 62주의 지방 제도를 채용하였다.(→ 9주 5소경 제도는 통일 신라의 지방 제도).
③ 국가의 중대사는 귀족들이 정당성에 모여 회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④ 6부는 유교적 성격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충(吏)·인(戶)·의(禮)·지(兵)·예(刑)·신(工)부).

【문 4】통일기 신라인의 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① 무역이 활발하여 농민의 필수품도 당에서 수입되었다.
② 농민들은 촌주를 통하여 집단적으로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③ 향·소·부곡민은 귀족들을 위해 수공업품을 생산했던 사노비였다.
④ 농민들에게 녹읍을 주어 경작하게 하고 국가에 조를 바치게 하였다.


① 비단, 책 및 귀족들의 사치품 등을 당으로부터 수입하였다.
③ 향·소·부곡민은 수공업 등 특수 직종에 종사한 천민이며, 노비는 따로 존재하였다.
④ 녹읍은 귀족들의 경제 기반이었고, 백성들에게 지급한 토지는 정전이었다.

【문 5】도교 사상과 관련이 적은 것은? 
① 산수문전
② 사택지적비
③ 임신 서기석
④ 사신도


③ 신라의 두 화랑도가 3년 안에 시경, 상서(서경), 예기, 좌전 등의 유교 경전을 공부할 것을 맹세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문 6】다음의 시대순이 바른 것은? 
㉠ 강동 6주의 설치  ㉡ 화통도감의 설치   ㉢ 강감찬의 귀주 대첩   ㉣ 삼별초의 난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강동 6주의 설치(993 : 성종 12년) → 강감찬의 귀주 대첩(1019 : 현종 10년) → 삼별초의 난(1270∼1273 : 원종 11년 ∼ 원종 14년) → 화통도감의 설치(1377, 우왕 3년)

【문 7】고려의 정치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교정도감은 풍기 단속과 감찰 및 언관 기능을 가졌다.
② 중서 문하성은 왕명 출납과 군사 기밀을 다루었다.
③ 삼사는 화폐와 곡식의 출납과 회계를 맡았다.
④ 도병마사는 양 계의 행정을 담당했다.


① 교정도감은 최씨 무신 정권 때 정적의 감시, 숙청 기구이며, 풍기 단속, 감찰 기구는 어사대이다. 중서 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로 구성되는 대성의 언관이 서경·간쟁을 담당하였다.
② 중서 문하성은 왕의 칙명을 기초·심의하였으며, 중추원에서 왕명 출납·군사 기밀을 담당하였다.
④ 도병마사는 중서 문하성과 중추원의 고관으로 구성되는 국가 최고 회의 직관이며, 양 계는 북방의 외침을 막기 위한 군사 행정 구역으로 장관은 병마사이다.

【문 8】고려 시대 토지 제도에 대해 맞는 사항은? 
① 농민은 공전을 경작했을 때 수확량의 1/4을 국가에 바쳤다.
②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하자 전국적 규모의 토지 제도를 마련했다.
③ 하급 관리나 군인의 유가족에게 외역전을 지급했다.
④ 관리의 신분으로 보직을 얻지 못한 자에게는 공해전을 지급했다.


① 공전은 수확의 1/4을, 사전은 수확의 1/2을, 민전은 수확의 1/10을 각각 국가에 바쳤다.
② 태조 때에는 공신들에게 역분적 지급, 경종 때 전국적 규모의 전시과를 설정하였다.
③ 하급 관리·군인의 유가족에게 구분전 지급, 외역전은 향리에게 지급하였다.
④ 6품 이하 관리의 자제로서 관직에 오르지 못한 자에게 한인전 지급, 공해전은 중앙·지방의 관아에 지급된 공전이다.

【문 9】다음에서 조선 시대 왕권 강화에 기여한 것만 모두 골라 묶은 것은? 
㉠ 의정부   ㉡ 의금부   ㉢ 사헌부  ㉣ 승정원
① ㉠, ㉢
② ㉡, ㉢, ㉣
③ ㉡, ㉣
④ ㉠, ㉡, ㉣


㉠ 의정부 - 최고 관부로 정책 수립과 합의 담당, 국정 총괄(→ 왕권 견제 기능)
㉡ 의금부 - 왕명 특별 재판소(→ 왕권의 강화, 유지 기능)
㉢ 사헌부 - 백관 규찰, 서경 담당, 풍기 단속(→ 사간원과 함께 왕권을 견제)
㉣ 승정원 - 왕명 출납, 비서 기관(→ 왕권 강화 기구)

【문 10】다음의 내용 중 이황(李滉)의 주리설과 관계깊은 것끼리 묶은 것은?
㉠ 도덕적 원리 강조 ㉡ 경험적 현실 세계 존중
㉢ 정치, 경제, 국방 개혁 주장  ㉣ 일본 성리학에 영향
㉤ 위정 척사 사상에 영향
① ㉠, ㉡, ㉢
② ㉠, ㉢, ㉤
③ ㉠, ㉣, ㉤
④ ㉢, ㉣, ㉤


주리설은 원리적 문제를 중요시 하는 이론으로, 이언적을 선구자로 하여 이황이 집대성하였으며, 주기설은 경험적 현실 세계를 중요시 하는 이론으로, 서경덕을 선구자로 하여 이이가 집대성하였다.

【문 11】16세기 조선의 학술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경학 위주의 학문 연구가 성행하여 이기 이원론이 발달하였다.
② 존화주의적 역사 인식으로 기자가 단군보다 더 중시되었다.
③ 격물 치지의 경험적 학풍으로 부국 강병을 위해 노력하였다.
④ 자연 속에서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찾고자 하는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③ 15세기의 정치·사회·문화를 주도한 관학파(훈구파)는 중앙 집권과 부국 강병을 추구하였으나, 16세기 이후를 주도한 사림파는 향촌 자치를 주장하고 의리·도덕을 숭상하였다.

【문 12】동학에 대한 바른 내용이 아닌 것은? 
① 교리는 유교·불교·도교는 물론 천주교 교리도 일부 흡수하였다.
②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바탕으로 인도주의·평등 사상을 지향하였다.
③ 혁명 사상을 내포하고 보국 안민을 내세우며 외세를 배척하였다.
④ 철학 사상으로서 동학은 주리론 쪽에 가까웠다.


④ 동학은 철학면에서 볼 때 주기론적 사상이었으며, 종교면에 있어서는 샤머니즘과 도교에 가까워 부적과 주술을 중시하였다.

【문 13】다음 중 17세기 문학의 특징은 어느 것인가? 
① 판소리와 가곡이 국문학의 중심이었다.
② 문학 창작의 주체가 상민층까지 확대되었다.
③ 서민 문학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④ 애국 사상과 사회 비판을 담은 작품이 많이 창작되었다.


④ 두 차례의 외침을 겪은 17세기에는 애국적·비판적인 사회 소설, 야담 잡기류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①③은 19세기 문학의 특징이고, ②는 18세기 문학의 특징이다.

【문 14】다음에 있는 문화재들의 건립 순서를 바르게 배열한 것은? 
㉠ 합천 해인사 경판고 ㉡ 구례 화엄사 각황전
㉢ 예산 수덕사 대웅전 ㉣ 안동 도산 서원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 고려 후기 → ㉠ 조선 초기(15C) → ㉣ 조선 중기(16C) → ㉡ 조선후기(17C)

【문 15】다음 중에서 갑신정변, 동학 농민 운동, 갑오·을미개혁에서 공통적으로 실현하고자 하였던 것은? 
① 토지 제도의 개혁
② 전제 군주제의 타파
③ 과거 제도의 폐지
④ 신분 제도의 개혁


㉠ 갑신정변 때의 14개조 개혁 요강 - 문벌 폐지, 인민 평등권 확립

【문 16】1920년대에 국내에서 일어난 민족 운동이 아닌 것은? 
① 물산 장려 운동
② 신간회와 근우회의 활동
③ 광주 학생 항일 운동
④ 독립 의군부의 활동


④ 국권 강탈 후 1910년대에는 일본의 탄압으로 의병의 일부는 국외로 옮겨 독립 운동기지를 건설하여 무장 투쟁의 전통을 이어갔고, 국내의 독립 운동은 비밀 결사 운동으로 변모되었다. 독립 의군부는 의병 전쟁을 전개하였던 임병찬 등 유생들이 고종 황제의 밀조를 받아 조직한 항일 비밀 결사이다.

【문 17】신간회에 관한 서술로 바르게 된 것은? 
① 민족 유일당 운동으로 국내 민족주의 진영과 해외 독립 운동 단체가 통합한 비밀단체였다.
② 강령에서 민족의 단결, 정치적·경제적 각성 촉구, 기회주의자의 배격을 주장하였다.
③ 6·10 만세 사건에 조사단을 파견하여 민족 운동을 지원했다.
④ 일제의 교묘한 탄압과 내부의 이념 대립으로 40년대 초에 해체되었다.


①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이 이념과 방략을 초월하여 결성한 합법적 단체이다.(→ 일제의 고등 술책으로 승인됨), ③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조사단을 파견하는 등 민족 운동을 전개하였다. ④ 1930년대 초에 해체되었다.

【문 18】일제는 한국의 문화와 민족을 말살하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 정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창씨 개명
② 조선어 학회 창설
③ 일선 동조론
④ 신사 참배


② 일제가 한국은 강점한 후 국어 연구 기관이었던 국문 연구소를 폐쇄하자, 1919년 민족 지도자들은 조선어 연구회를 조직, 과학적인 국어 연구를 통하여 일제에 대항하였다. 1931년 조선어 연구회는 조선어 학회로 개칭되었으며, 1942년 이른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해산당할 때까지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에 항거하였다.

【문 19】다음과 같은 일을 한 민족 사학자는? 
주로 고대사 연구에 치중하여 조선 상고사, 조선사 연구초를 저술하였고 민족주의 사학의 기반을 확립하였다.
① 박은식
② 신채호
③ 정인보
④ 문일평


② 신채호는 조선 상고사에서 '역사는 아(我)와 비아(非我)와의 투쟁'이라 하였고, 조선사 연구초에서 '낭가사상'을 우리의 전통 사상으로 강조하였다. ① 박은식은 '혼 사상' 강조(한국통사) ③ 정인보는 '조선의 얼' 강조(조선사 연구) ④ 문일평은 '조선심' 강조(한미 50년사)

【문 20】다음 사실 가운데 6·25 남침 후에 있었던 사실은? 
① 한·미 방위 조약 체결
② 여수·순천 반란 사건
③ 농지 개혁 실시
④ 4·3 제주도 폭동 사건

①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은 1953년 10월에 미국의 워싱턴에서 변영태 외무 장관과 미국의 덜레스 국무 장관이 정식으로 조인하여 군사 동맹 관계에 돌입하였다. ② ④는 1948년의 일이고 ③은 1950년에 단행되었다.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