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6월 27일에 시행한 대전시 9급 교육행정직 공무원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토의의 의의는 궁극적으로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1) 문제 의식
2) 정보 교환
3) 집단 사고
4) 전원 협력
5) 지식 교환


2. 고대 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대 소설의 근원 설화가 형성되었으며 우리 고유의 시가인 향가가 발생하였다.
2)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문학에서 집단적, 서사적인 문학으로 발전했다.
3) 종교의식과 관련이 깊은 원시종합예술에서 문학이 태동했다.
4) 고대 가요는 배경 설화에 삽입되어 구비 전승되다가 한역(漢譯)으로 정착되었다.
5) 초기에는 무격 정령신앙을, 통일신라 이후에는 불교를 사상적 기반으로 하였다.


3. 다음 글은 글쓰기에 있어서 어떤 태도를 경계한 표현인가?

암탉의 배를 가르고, 생기다 만 알을 꺼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1) 쓰고 싶은 말이 별로 없는데 억지로 글을 쓰는 경우
2) 다른 사람의 글을 베껴 쓰는 경우
3)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진부한 내용을 쓰는 경우
4) 남들이 그래야 한다고 추측하여 글을 쓰는 경우
5) 표현 기교에 지나치게 치우쳐 글을 쓰는 경우


4. 어떤 조직에서 각 개인의 중요성을 "유추(類推)"를 통해 더욱 알기 쉽게 설명하려고 할 때 유추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강의실에서 교수와 학생
2) 자동차의 핸들과 타이어
3) 기계의 작동과 톱니바퀴
4) 기차의 기관사와 승객
5) 시계의 문자판과 바늘


5.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다."라는 말과 같은 표현의 기법은?
1) 애수는 백로처럼 날개를 펴다.
2) 분수처럼 흩어진 푸른 종소리
3) 봄은 천지의 소녀, 소녀는 인생의 봄
4)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5)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불빛이라


6. 다음 시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머언 산(山) 청운사(靑雲寺)
낡은 기와집
산(山)은 자하산(紫霞山)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 잎 피어나는 열두 굽이를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1) 계절의 순환과 인생의 역정 연결
2) 청색 중심의 이미지
3) "ᄂ음"의 반복에 의한 운율감 형성
4) 원근법에 의한 시상의 전재
5) 향토적 정서와 자연 친화 의식 표현


7. 다음 글의 밑줄친 글자가 문맥에서 갖는 의미로 가장 옳은 것은?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1) 그리고
2) 그래서
3) 그러나
4) 그나마
5) ~하여


8. 다음 밑줄친 것 중에서 표기가 바르지 못한 것은?
1) 그는 삭월세방에 살면서도 행복해 한다.
2) 심부름꾼이 말을 잘못 전해 오해가 생겼다.
3) 지난 밤 우레 소리에 단잠을 깨었다.
4) 가난한 이웃에게 쌀 서 말을 도와 주었다.
5) 벼농사에는 좋은 볍씨를 구하는 것이 첫째 일이다.


9. 다음 중 사이시옷이 잘못 붙은 것은?
1) 햇수
2) 곗날
3) 초점
4) 제삿날
5) 아랫니


10. "차다"의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가 아닌 것은?
1) 冷
2) 朔
3) 蹴
4) 滿
5) 佩


11. 다음 중 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은?
1) 산 그림자가 소리도 없이 다가온다.
2) 봄이 오니, 날씨가 따뜻하다.
3) 그는 모든 이에게 존경받는 사람이다.
4) 산은 매우 높고, 물은 매우 깊다.
5) 서리가 내리면, 나뭇잎이 빨갛게 물든다.


12. 다음 한자의 표기가 바르지 못한 것은?
1) 서정쇄신 (庶政刷新)
2) 위민행정 (爲行政)
3) 솔선수범 (率先垂範)
4) 선린정책 (善燐政策)
5) 실천궁행 ( 實踐躬行)


13. 다음 중 의미가 명확하고 자연스러운 문장은?
1) 할머니께서 어제 돌아가셨다.
2) 키가 큰 형의 친구가 온다.
3) 어제 나는 금숙이와 순희를 만났다.
4) 생일 잔치에 초대받은 친구가 다 오지는 않았다.
5) 유전 공학을 연구한 아버지의 친구가 어제 귀국하셨다.


14. 다음 고어(古語)중 표기와 의미가 같지 않은 것은?
1) 곧[所], 곳.곶[花]
2) 믈[水], 물[衆]
3) 여름[夏], 녀름[實]
4) 됴ᄒ다[好], 좋다[淨]
5) ᄃ․리[橋], 다리[脚]


15. 문학 작품을 작가의 체험,사상,감정 등을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은?
1) 종합주의적 관점
2) 반영론적 관점
3) 절대주의적 관점
4) 효용론적 관점
5) 표현론적 관점


16.㉠"男兒須獨五車書", "博而不精"  ㉡"眼光徹紙背"와 관계되는 독서의방법은?
1) ㉠다독,㉡정독
2) ㉠정독,㉡다독
3) ㉠다독,㉡발췌독
4) ㉠발췌독,㉡정독
5) ㉠정독,㉡발췌독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