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7월 26일에 시행한 경찰직(순경:일반) 공무원 3차 시험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1  1930년대의 문학사적 사실이 아닌 것은?
갑. 순수 문학의 발전
을. 카프의 해체와 프로 문학의 퇴조
병. 민족애에 입각한 계몽 문학의 발달
정. 다양한 문학 형태의 시도

병:이광수, 최남선이 주도한 1910년대 문학의 특징이다.

※ 1930년대의 문학사적 특징
1. 목적 문학의 퇴조와 순수 문학의 발달:일제의 좌익 세력에 대한 탄압과 자체의 비판으로 카프(KAPF)가 해산되고, 문학의 순수성과 예술성을 지향하는 ‘시문학파’와 ‘구인회’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2. 현실에 대한 지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주지적 경향:인간의 문제, 생산의 문제, 도시 문명의 모습, 농촌과 도시의 삶 등을 다룬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이는 보다 심화된 예술적 경향을 지향한 결과이다.
3. 문학적 기교의 성숙:문학에 대한 시각이 다양화되고, 서구 문학과 사조(주지주의, 다다이즘)를 수용함으로써 전대의 문학에 비해 한층 성숙된 문학적 기교를 구사하였다.

 2  다음 동인지, 연대, 참여 작가의 연결이 틀린 것은?
갑. 폐허-1920-염상섭
을. 장미촌-1921-황석우
병. 백조-1922-현진건
정. 조선 문단-1924-최남선

정:이광수, 방인근, 김억, 김동인 등이 참여한 민족주의 경향의 잡지

 3  다음 중 움라우트(umlaut)와 관계없는 것은?
갑. 고기>괴기
을. 안경>앵경
병. 빨강이>빨갱이
정. 오누이>오뉘

‘오뉘’는 ‘오누이’의 준말로 둘다 표준어로 인정되는 단어이다(표준어 규정 제3절 제16항).
움라우트(Umlaut):모음 ‘ㅏ, ㅓ, ㅗ, ㅜ’ 등이 그 뒤 음절의 ‘ㅣ’ 모음을 직접, 또는 자음을 건너서 만날 때, 그 ‘ㅣ’를 닮아서 ‘ㅐ, ㅔ, ㅚ, ㅟ’ 등으로 바뀌는 현상. ‘ㅣ’모음 역행 동화라고도 한다. 예) 자미>재미, 져비>졔비>제비, 겨집>계집

 4  표준어끼리 맞게 짝지어진 것은?
갑. 미쟁이, 사글세
을. 윗층, 강낭콩
병. 무, 상추
정. 셋째, 아지랑이

갑:미쟁이 ⇨ 미장이을:윗층 ⇨ 위층정:세째 ⇨ 셋째

 5  다음 중 정서법에 알맞은 것은?
갑. 햇빛을 쏘여 얼굴이 탔다.
을. 휴게실의 재털이가 잔디밭에 버려져 있다.
병. 시골에서는 모내기가 한창이다.
정. 메주로 간장을 담는다.

갑:쏘여 ⇨ 쐬어을:재털이 ⇨ 재떨이정:담는다 ⇨ 담근다

 6  세시 풍속과 관계 있는 노래는?
갑. 동동
을. 가시리
병. 청산별곡
정. 유구곡

동동:임과 이별한 여인의 애절한 정서가 달마다의 풍속을 중심으로 흐르고 있는 고려 속요로, 13연으로 구성된 월령체(月令體) 노래의 효시이다.

 7  연극을 하는 이와 관객 사이에 암암리에 맺어진 약속을 무엇이라 하는가?
갑. 캐릭터(character)
을. 컨벤션(convention)
병. 카타스트로피(catastrophe)
정. 방백

갑:등장 인물이나 그 인물의 성격
병:희곡의 대단원, 파국(비극적인 결말). 연극에서 최고조에서의 극적 긴장을 지나 비극을 결말로 이끄는 결정적인 사건
정:관객에게는 들리나 무대 위의 상대방에게는 들리지 않는 것으로 약속하고 하는 대사

 8  다음 글의 제재로 가장 알맞은 것은?
선은 / 가냘픈 푸른 선은 / 아리따웁게 구을러
보살같이 아담하고 / 날씬한 어깨여
사월 훈풍에 제비 한 마리
방금 물을 박차 바람을 끊는다.
갑. 바다
을. 산(山)
병. 청자(靑磁)
정. 난(蘭)

청자부(靑磁賦):「조광」 (1940. 6)에 수록된 박종화의 시로, 신묘하고 정교한 고려 청자의 아름다움을 찬양했다.

 9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느낌을 주는 회화적인 시에 가장 가까운 것은?
갑. 박목월의 ‘나그네’
을. 이육사의 ‘광야’
병.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
정. 한용운의 ‘찬송’

갑:강나루와 밀밭을 통하여 한국적인 향토적 정서를 하나의 묵화(墨畵)처럼 표현한 회화적인 시
을: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광명의 새 역사, 곧 조국 광복을 염원하는 지사적․선구자적․예언자적 기풍의 시
병:불행한 현실을 떠나 미지의 세계로 도피하려는 마음을 그린 감상적 낭만주의 시
정:한용운 시의 대상인 ‘임(조국․진리․부처 등)’을 찬송하는 시로, 님의 침묵에 수록되었다.

10  다음 중 문장 수사법이 다른 것은?
갑.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을. 구름은 보랏빛 색지 위에 마구 칠한 한 다발 장미
병.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정. 백의의 천사는 함빡 웃었다.

정:환유(백의의 천사 ⇨ 간호사)
갑․을․병:은유

※ 환유법(換喩法)
표현 대상과 관련되는 다른 사물이나 속성을 들어 그 대상을 대신 나타내는 방법

11  다음 중 시적 허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갑.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
을.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병.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정. 차마 이 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갑:감추고 ⇨ 감추오고
병:스친다 ⇨ 스치운다
정:범하진 ⇨ 범하던

※ 시적 허용:예술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용인된 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가정으로서 문법, 어법, 리듬, 압운, 역사적 사실 등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시적 파격이라고도 한다.

12  다음 중 15세기 국어의 어휘에 대한 현대어의 해석이 모두 옳은 것은?


13  다음은 설명의 방법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문학의 분야는 시, 소설, 희곡, 수필로 일단 나누어 볼 수 있다.
갑. 예시
을. 비교
병. 분류
정. 구분

상위 개념을 하위 개념으로 가르는 것은 구분이고, 하위 개념을 상위 개념으로 묶어 주는 것은 분류이다.

14  반치음 탈락의 흔적이 보이는 것은?
갑. 시골
을. 고을
병. 무엇
정. 싸우다


1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시는?
민족 주체성의 일시적 은폐 현상을 극복하고 그 현존성을 노래하는 의지적인 시
갑. 진달래꽃(김소월)
을. 서시(윤동주)
병. 님의 침묵(한용운)
정. 절정(이육사)

병:임(조국, 민족)을 잃은 슬픔과,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의 의지를 상징적 표현과 전통적 정서를 바탕으로 노래했다.
갑:승화된 이별의 정한을 민요조의 가락으로 노래한 김소월의 전통적 서정시
을:섬세하고 예민한 정서, 순결 의식에 바탕을 둔 자기 고백적 어조로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극복 의지를 진솔하게 표현한 윤동주의 대표작
정:대륙적․남성적 목소리로 극한에 달한 절망적인 식민지 상황을 초극하려는 준엄한 의지를 보여 준 이육사의 저항시

16  고려 가전체 중 ‘게’를 의인화한 작품은?
갑. 청강사자현부전
을. 공방전
병. 무장공자전
정. 정시자전

병:이윤보 작(作)    *‘무장공자(無腸公子)’란 창자 없는 동물이란 뜻으로, ‘게’를 가리킨다.

가전(假傳):계세징인(戒世懲人)을 목적으로 사물을 의인화해서 그 일생을 다룬 것. 임춘의 ‘국순전(술)’․‘공방전(돈)’, 이규보의 ‘국선생전(술)’․‘청강사자현부전(거북)’, 석식영암의 ‘정시자전(지팡이)’, 이곡의 ‘죽부인전(대나무)’ 등이 있다.

17  다음 국문학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갑. 향가의 10구체를 우리 나라 기록 문학의 효시로 본다.
을. 시조와 고려 속요는 계층으로 보아 대립 문학에 속한다.
병. 가사는 교술 문학의 대표 장르다.
정. 판소리는 전문가에 의해 가창․전수된 문학이다.

을:고려 속요(평민 문학)와 계층상 대립하는 문학으로는 경기체가(귀족 문학)를 들 수 있다.
※ 시조는 고려 말에 형식이 완성되어 조선 전기 양반 사대부들에게 애용되다가 조선 후기 평민․서민층 사이에서도 성행하였다.

18  훈민정음 자모 28자 중 현대어에 없는 4자를 소멸 순서대로 배열한 것은?
갑. ᅙ>ᅘ>ᄫ>ᅀ
을. ᅙ>ᅀ>ᅌ>․
병. ᄫ>ᅌ>ᅘ>ᅀ
정. ᄫ>ᅘ>ᅀ>ᅌ

ᅙ(15세기 세조 때) ⇨ ᅀ(16세기 임란) ⇨ ᅌ(16세기 임란) ⇨ · (음가는 18세기, 글자는 1933년 소실)

19  한자를 바르게 쓴 문장은?
갑. 영업을 防害한다.
을. 식물을 栽倍한다.
병. 그의 목소리는 魅惑的이었다.
정. 월급에서 보험료를 控濟했다.

병. 매혹적(魅惑的):매혹할 만한 데가 있는
갑. 방해(妨害):헤살을 놓아 못하게 함.
을. 재배(栽培):식물을 심어서 가꿈.
정. 공제(控除):빼어냄. 뗌.

20  “그 음악을 ㉠ 감상하고 있으면, ㉡ 감상에 젖어 눈물을 흘리기 일쑤였다.”에서 ㉠, ㉡의 한자를 바르게 옮겨 적은 것은?
갑. ㉠ 感想 ㉡ 鑑賞
을. ㉠ 感想 ㉡ 憾傷
병. ㉠ 鑑賞 ㉡ 感傷
정. ㉠ 鑑傷 ㉡ 感想

感想(감상):마음에 느끼어 일어나는 생각
感傷(감상):대상에서 받은 느낌으로 마음 아파하는 일 / 하찮은 사물에도 쉽게 슬픔을 느끼는 마음
鑑賞(감상):예술 작품을 음미하여 이해하고 즐김.

댓글 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