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3월 5일에 시행한 법원직 9급 (법원서기보직) 공무원 국어 기출문제입니다.
【문 1】 시에서의 이미지(image)는 주로 무엇을 통해 나타내는가?
A. 비유
B. 묘사
G. 진술
M. 운율
A.비유(比喩):말하고자 하는 사물이나 의미[원관념]를 다른 사물[보조 관념]에 빗대어서 표현하는 방법. 유추 관계에 있는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통해 시의 표현 대상에 대한 구체성, 선명성, 직접성을 높여 주고, 함축적․복합적인 연상(聯想)을 불러 일으킨다. 직유, 은유, 의인, 풍유, 환유, 제유 등
※이미지[image, 심상(心想)]:지각 작용에 감지된 것이 언어에 의해 마음 속에 표현된 사물의 감각적 영상. 구체적․감각적 인상의 재현으로, 주로 비유와 상징을 통해 나타난다.
※이미지[image, 심상(心想)]:지각 작용에 감지된 것이 언어에 의해 마음 속에 표현된 사물의 감각적 영상. 구체적․감각적 인상의 재현으로, 주로 비유와 상징을 통해 나타난다.
【문 2】 글쓰기의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은?
A. 구성,개요 작성
B. 주제 설정
G. 자료의 수집과 선정
M. 구상(構想)
글쓰기의 과정 :
주제의 설정▶자료의 수집과 선정▶구성 및 개요의 작성▶집필▶퇴고
주제의 설정▶자료의 수집과 선정▶구성 및 개요의 작성▶집필▶퇴고
【문 3】 미래에 특정 행위나 사건이 일어나게 하거나 일어나지 않게 하며, 그 성격이나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의 언어를 지령적(指令的) 언어라고 한다. 다음 중 그 기능이 가장 미약한 표현은?
A. 일찍 일어나는 것은 건강을 위하여 좋다.
B. 본제품은 견고하고 값이 싸면서도 최고의 기능을 발휘합니다.
G. 침묵은 금이다.
M. 금년 겨울은 몹시 가물었다.
언어(言語)의 지령적 기능(指令的 機能):상대방의 행동이나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하거나 지시를 하여, 특정 행위나 사건이 일어나게 하거나 일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화자의 목적을 달성하는 기능 (표어, 선거 연설, 광고, 법률, 단체 협약, 교통 규칙 등)
※언어의 기능
1.정보 전달의 기능
2.표현적 기능
3.지령적 기능
4.사교적 기능
5.미적 기능
※언어의 기능
1.정보 전달의 기능
2.표현적 기능
3.지령적 기능
4.사교적 기능
5.미적 기능
【문 4】 다음에 제시된 내용에 알맞은 주제문은?
나는 해와 달과 별을 사랑한다. 구름과 바람, 그리고 비와 눈과 안개를 사랑한다. 꽃과 잎과 열매는 또 얼마나 사랑스러운 것들인가? 새 한 마리, 풀벌레 한 마리가 다 사랑스러운 것이다. |
B. 나는 내 삶을 사랑한다.
G. 나는 자연을 사랑한다.
M. 나는 모든 것을 사랑한다.
G:해, 달, 별, 구름, 바람, 비, 눈, 안개 등 생명이 없는 자연물과 꽃, 잎, 열매, 새, 풀벌레 등 생명이 있는 동․식물에 대한 애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문 5】 어떤 기계의 작동을 설명하는 글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글의 요건은?
A. 독창성(獨創性)
B. 명료성(明瞭性)
G. 진실성(眞實性)
M. 충실성(充實性)
B:기계의 작동을 설명하는 글은 작동 순서와 원리 및 방법을 알기 쉽도록 간단․명료하게 제시해야 한다.
※설명:지식이나 원리, 정보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풀이하여 말하는 것으로, 객관적․과학적이어야 한다.
※설명:지식이나 원리, 정보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알기 쉽게 풀이하여 말하는 것으로, 객관적․과학적이어야 한다.
【문 6】 다음과 같은 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노인, 여자’의 경우에서처럼, 첫머리에서 ‘ㄹ, ㄴ’음이 제약되어 ‘로인’이 ‘노인’으로 ‘녀자’가 ‘여자’ 등으로 나타나는 것을 두음 법칙이라 한다. |
B. 논의(論議)
G. 약식(略式)
M. 양반(兩班)
A.努:힘 쓸 노B.論:논할 론G.略:간략할 략M.兩:두 량
※두음 법칙(頭音法則):‘ㄹ’과 ‘ㄴ’이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다른 음으로 발음되는 현상. (론의(論議)⇨논의, 략식(略式)⇨약식, 량반(兩班)⇨양반, 래일(來日)⇨내일, 량심(良心)⇨양심, 락원(樂園)⇨낙원)
※두음 법칙(頭音法則):‘ㄹ’과 ‘ㄴ’이 단어의 첫머리에 발음되는 것을 꺼려 다른 음으로 발음되는 현상. (론의(論議)⇨논의, 략식(略式)⇨약식, 량반(兩班)⇨양반, 래일(來日)⇨내일, 량심(良心)⇨양심, 락원(樂園)⇨낙원)
【문 7】 다음 ㉠∼㉢에 알맞은 말들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은?
교도소를 ‘큰 집’, 돈을 ‘동그라미’라 하는 것은 ( ㉠ )이고, 입을 ‘주둥아리’, 시골 사람을 ‘촌놈’이라 하는 등 점잖지 못하고 천한 말이 ( ㉡ )이며, 두목을 ‘왕초’, 산삼 캐는 사람을 ‘심마니’라 하듯이, 특수 계층의 사람들끼리 쓰는 말이 ( ㉢ )이다. |
A. 은어-속어-비어
B. 은어-비어-속어
G. 속어-비어-은어
M. 비어-속어-은어
G.1.속어(俗語):통속적으로 쓰이는 저속한 말 (도망가다⇨토끼다)
2.비어(卑語):사물을 천하게 부르는 하위 계급적인 말 (눈⇨눈깔, 입⇨아가리․주둥이)
3.은어(隱語):어떤 특수한 집단에서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쓰는 말. 비밀어 또는 변말
(우두머리⇨왕초, 부하⇨똘만이, 모자⇨뚜껑이, 산삼⇨심)
2.비어(卑語):사물을 천하게 부르는 하위 계급적인 말 (눈⇨눈깔, 입⇨아가리․주둥이)
3.은어(隱語):어떤 특수한 집단에서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쓰는 말. 비밀어 또는 변말
(우두머리⇨왕초, 부하⇨똘만이, 모자⇨뚜껑이, 산삼⇨심)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문8∼10)
(가) 만일 이러한 정신적 가치의 추구와 문화에의 동참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결과는 어떻게 될 것인가? 물질주의는 향락주의를 이끌어들이며, 눈에 보이는 건설이 전부라는 편협한 가치관에 빠져 사회의 불행을 자초할 수 밖에 없다. ( ⓐ ) 이 정신적․문화적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인간 상실의 비운을 면치 못하게
된다. (나) 오늘과 같이 물질 문명이 모든 것을 지배하며, 기계적인 ㉠劃一的 사고가 우리 생활을 이끌어 가며, ㉡效率性만을 추구하는 집단들이 일방적인 가치와 사고 방식만을 택하게 된다면, 현대인들은 ⓑ이에서 ㉢救出받을 길이 끊기고 만다. 메커니즘이 이성(理性)의 자율성을 지배하며, 그것이 다시 인간성과 인격을 좌우하게 된다면, 현대는 우리들이 상상할 수 없는 비극과 ㉣破綻으로 달리게 된다. |
【문 8】 ㉠∼㉣의 한자를 틀리게 읽은 것은?
A. ㉠ 劃一的-획일적
B. ㉡ 效率性-효율성
G. ㉢ 救出-구출
M. ㉣ 破綻-파경
M.破綻(파탄):일이 그릇되어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름.*破:깨뜨릴․다할 파綻:솔기터질 탄
A.劃:그을 획B.效:본받을 효G.救:구원할 구
A.劃:그을 획B.效:본받을 효G.救:구원할 구
【문 9】 ⓑ가 가리키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편협한 가치관
B. 인간 상실의 비운
G. 물질주의와 향락주의
M. 일방적인 가치와 사고 방식
B:‘이’가 지시하는 것은 인간이 생산 수단으로 전락한 상태에서 오는 인간 상실의 비운으로, 현대의 비극성을 뜻한다.
※현대 사회의 과제:현대 사회의 문제를 ‘개인과 사회의 관계’와 ‘물질 우위의 오도된 가치관’을 중심으로 서술한 김형석의 논설문. 인도적․창의적인 개인과 사회의 관계, 적극적인 문화 창조와 통일된 가치관 정립으로서 인간 소외를 극복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과제:현대 사회의 문제를 ‘개인과 사회의 관계’와 ‘물질 우위의 오도된 가치관’을 중심으로 서술한 김형석의 논설문. 인도적․창의적인 개인과 사회의 관계, 적극적인 문화 창조와 통일된 가치관 정립으로서 인간 소외를 극복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문10】 ⓐ에 알맞은 연결어는?
A. 그러나
B. 그런데
G. 그리고
M. 그러므로
G:정신적 가치의 추구와 문화에의 동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로서, 앞 문장은 편협한 가치관의 불행을, 뒷문장은 인간 상실의 비극을 들고 있으므로, 문맥상 순접 관계의 접속어가 필요하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문11∼13)
지난날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문체에는 ㉠국한 혼용체(國漢混用體)가 있다. 개화기의 국한 혼용체는 말만이 국한 혼용체일 뿐, 한문에 토를 단 정도의 문체였다. 이는 당시 글이라면 한문만을 생각하던 시대였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하겠다. 그러기에 ‘( ㉡ )’을 본 저자의 친구는 국한 혼용이 “文家의 軌道를 越야 ㉢具眠者의 譏笑를 未免리로다.”란 ㉣평언을 하고 있는 것이다. |
【문11】 ㉠을 최초로 사용한 글로서 ㉡에 알맞은 것은?
A. 서유 견문
B. 서포 만필
G. 독립 신문
M. 기미 독립 선언문
A.서유 견문(西遊見聞):유길준(兪吉濬)이 유럽의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보고 느낀 것들을 기록한 견문록으로 최초의 국한문 혼용체로 됨. 1895년 간행되었으며 모두 20편(설명적 논설문 18편, 기행문 2편)으로 구성
B.서포 만필(西浦漫筆):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책으로, 송강의 가사 비평과 국문 문학론을 펴 비평 문학의 고전이 됨. 한문본
G.독립 신문(獨立新聞):1896년 서재필․윤치호가 발행한 최초의 민간 신문. 순한글과 영문으로 됨.
M.기미 독립 선언문(己未獨立宣言文):1919년 3월 1일을 기하여 독립 선언의 근본 취지와 당위성을 제시하고 행동 방향과 결의를 나타낸 선언문. 최남선이 기초하였으며, 국한문 혼용체임.
※국한 혼용체(國漢混用體):형식상 국문과 한문을 섞어 쓴 문체. 실제로는 국문보다 한문이 주가 되고 조사․어미 등만 국문으로 쓴 한주국종체(韓主國從體)가 주로 쓰였다.
B.서포 만필(西浦漫筆):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책으로, 송강의 가사 비평과 국문 문학론을 펴 비평 문학의 고전이 됨. 한문본
G.독립 신문(獨立新聞):1896년 서재필․윤치호가 발행한 최초의 민간 신문. 순한글과 영문으로 됨.
M.기미 독립 선언문(己未獨立宣言文):1919년 3월 1일을 기하여 독립 선언의 근본 취지와 당위성을 제시하고 행동 방향과 결의를 나타낸 선언문. 최남선이 기초하였으며, 국한문 혼용체임.
※국한 혼용체(國漢混用體):형식상 국문과 한문을 섞어 쓴 문체. 실제로는 국문보다 한문이 주가 되고 조사․어미 등만 국문으로 쓴 한주국종체(韓主國從體)가 주로 쓰였다.
【문12】 ㉢에서 ‘眠’의 뜻을 지니고 있는 것은?
A. 그 여자는 눈이 높다 보니 노처녀가 되었다.
B. 우리 외삼촌은 골동품을 고르는 눈이 있다.
G. 그들은 처음 보는 순간 서로 눈이 맞았다.
M. 이제 제발 국제 문제에도 좀 눈을 떠라.
B:안목(眼目;사물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의 의미
※구안자(具眼者):사물을 분별하는 안목과 식견을 가진 사람. 여기서는 한문 문장에 탁월한 능력을 지닌 지식인
※구안자(具眼者):사물을 분별하는 안목과 식견을 가진 사람. 여기서는 한문 문장에 탁월한 능력을 지닌 지식인
【문13】 ㉣의 내용을 가장 쉽고 바르게 간추린 것은?
A. 참신하고 바람직한 표현이다.
B. 한문으로 쓰는 것만 못하다.
G. 언문 일치에 이르지 못했다.
M. 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
“文家의 軌道를 越야 具眼者의 譏笑를 未免리로다”란 평언:문장가로서 반드시 따라야 할 올바른 길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탁월한 안목과 식견을 지닌 사람들의 웃음을 면하지 못한다는 말. 즉 국한 혼용체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비평한 부분임.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문14∼16)
【문14】 윗글과 함께 申在孝가 정리한 판소리 여섯 마당에 들지 않는 것은?
A. 배비장 타령
B. 수궁가
G. 가루지기 타령
M. 적벽가
판소리 여섯 마당:춘향가, 심청가, 흥부가(박타령), 수궁가(토별가), 적벽가(화용도 타령), 변강쇠 타령(가루지기 타령). 현재 변강쇠 타령을 제외한 다섯 마당만 전함.
【문15】 윗작품과 관계 깊은 고대 설화는?
A. 연권녀 설화
B. 관탈민녀(官奪民女) 설화
G. 방이 설화
M. 손순매아(孫順埋兒) 설화
G.방이 설화(旁㐌說話):마음씨 착한 형 방이와 샘 많은 동생의 이야기. 흥부전의 근원 설화
※설화와 고대 소설
연권녀 설화[효녀 지은]⇨심청전, 방이 설화⇨흥부전, 열녀 설화․암행 어사 설화⇨춘향전, 구토지설⇨별주부전
※설화와 고대 소설
연권녀 설화[효녀 지은]⇨심청전, 방이 설화⇨흥부전, 열녀 설화․암행 어사 설화⇨춘향전, 구토지설⇨별주부전
【문16】 윗글과 같은 장르의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A. 글 전체의 유기적 통일성이 소설에 비해 탁월하다.
B. 하층 문화에서 상층 문화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언어 층위(層位)가 보인다.
G. 산문체와 운문체가 섞여 나타난다.
M. 풍자와 해학의 미학(美學)이 뛰어나며, 김유정과 채만식 등이 그것을 현대적으로 계승하였다.
A:판소리보다 소설에서 글 전체의 유기적 통일성이 탁월하다.
※판소리의 특징
1.음악[唱], 문학[아니리], 연극[발림]적 요소가 결합된 종합 예술 양식이다.
2.현장 연출을 통해 전개되는 사건을 서술자가 개입하여 청중에게 전달하는 서사 중심 문학이다.
3.주로 서민들의 현실적인 생활을 그리고 있으며, 극적․민속적 내용이 많다.
4.조선 후기에 성장한 서민 의식의 반영으로 서민들의 일반 언어를 주로 사용했다.
5.상승 과정에서 양반층에 영합하다 보니 봉건 윤리가 더러 강조되기도 했고, 양반층의 언어도 섞여 쓰였다.
6.정제된 표현이라기보다는 조잡하고, 풍자․해학의 골계적 표현으로 희극미를 창출한다.
7.운문체[창]와 산문체[아니리]가 결합된, 4․4조 중심의 율문(律文)이다.
※판소리의 특징
1.음악[唱], 문학[아니리], 연극[발림]적 요소가 결합된 종합 예술 양식이다.
2.현장 연출을 통해 전개되는 사건을 서술자가 개입하여 청중에게 전달하는 서사 중심 문학이다.
3.주로 서민들의 현실적인 생활을 그리고 있으며, 극적․민속적 내용이 많다.
4.조선 후기에 성장한 서민 의식의 반영으로 서민들의 일반 언어를 주로 사용했다.
5.상승 과정에서 양반층에 영합하다 보니 봉건 윤리가 더러 강조되기도 했고, 양반층의 언어도 섞여 쓰였다.
6.정제된 표현이라기보다는 조잡하고, 풍자․해학의 골계적 표현으로 희극미를 창출한다.
7.운문체[창]와 산문체[아니리]가 결합된, 4․4조 중심의 율문(律文)이다.
【문17】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과 관계 깊은 언어의 속성은?
언어의 사교적 기능에서는 언어 형식의 관습적인 의미 내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A. 자의성
B. 사회성
G. 역사성
M. 체계성
언어 형식의 관습적인 의미 내용:언어 형식의 일반적․표면적인 의미 내용, 즉 언어의 개념적․지시적 의미. 이는 언어의 형식과 의미 내용은 쉽게 바뀔 수 없는 사회적 약속이라는 언어(기호)의 사회성과 관계된다.
※언어의 사교적 기능:우호적인 유대 관계를 유지하도록 의사 소통의 통로를 열어 놓아 주는 기능. 무슨 말을 하느냐보다 말을 한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밤새 안녕하셨습니까?”는 안녕하셨는지 여부를 알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친교 확보를 위한 발화이다.
※언어의 사교적 기능:우호적인 유대 관계를 유지하도록 의사 소통의 통로를 열어 놓아 주는 기능. 무슨 말을 하느냐보다 말을 한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밤새 안녕하셨습니까?”는 안녕하셨는지 여부를 알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친교 확보를 위한 발화이다.
【문18】 다음 중 ‘望夫石 說話’와 관련이 없는 작품은?
A. 정읍사
B. 선운산가
G. 치술령곡
M. 회소곡
M.회소곡(會蘇曲):가사 부전의 신라 가요. 한가위 때 길쌈내기에서 진 부인들이 이긴 편에게 음식을 대접하면서 불렀다는 노래
A.정읍사(井邑詞):행상 나간 남편의 신변을 근심하여 부른,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
B.선운산가(禪雲山歌):장사(長沙) 사람이 부역에 나가 돌아오지 않자 그 아내가 선운산에 올라가 불렀다는 백제 가요
G.치술령곡(鵄述領曲):박제상의 아내가 치술령에서 남편을 기다리가 죽은 사연을 애도하여 부른 신라의 노래
※망부석 설화(望夫石說話):아내가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다가 굳어 화석이 되었다는 이야기
A.정읍사(井邑詞):행상 나간 남편의 신변을 근심하여 부른,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
B.선운산가(禪雲山歌):장사(長沙) 사람이 부역에 나가 돌아오지 않자 그 아내가 선운산에 올라가 불렀다는 백제 가요
G.치술령곡(鵄述領曲):박제상의 아내가 치술령에서 남편을 기다리가 죽은 사연을 애도하여 부른 신라의 노래
※망부석 설화(望夫石說話):아내가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다가 굳어 화석이 되었다는 이야기
【문19】 다음 시조의 주제로 알맞은 것은?
A. 曲學阿世
B. 自家撞着
G. 弱肉强食
M. 炎凉世態
G.弱肉强食(약육강식):약한 것이 강한 것에게 먹힘.
A.曲學阿世(곡학아세):정도(正道)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의 속물들에게 아부함.
B.自家撞着(자가당착):자기의 언행이 전후가 맞지 않음.
M.炎凉世態(염량세태):권세가 있을 때는 붙좇고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속의 인심
※두터비 리를 물고
1.갈래:사설시조, 해학가, 풍자가
2.성격:우의적, 풍자적, 희화적
3.소재:두꺼비[강자], 파리[약자], 백송골[권력이 더 강한 중앙 관리]
4.배경:강자에 약하고 약자에 강한 당시 양반 계층 사회를 반영
5.주제:탐관 오리에 대한 풍자
6.출전:청구영언
A.曲學阿世(곡학아세):정도(正道)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의 속물들에게 아부함.
B.自家撞着(자가당착):자기의 언행이 전후가 맞지 않음.
M.炎凉世態(염량세태):권세가 있을 때는 붙좇고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속의 인심
※두터비 리를 물고
1.갈래:사설시조, 해학가, 풍자가
2.성격:우의적, 풍자적, 희화적
3.소재:두꺼비[강자], 파리[약자], 백송골[권력이 더 강한 중앙 관리]
4.배경:강자에 약하고 약자에 강한 당시 양반 계층 사회를 반영
5.주제:탐관 오리에 대한 풍자
6.출전:청구영언
【문20】 다음 소설 작품 중 분단의 비극을 등장 인물의 회상을 중심으로 처리하고 있는 것은?
A. 광장
B. 수라도
G. 목넘이 마을의 개
M. 꺼삐딴 리
A.광장(廣場):민족 분단의 비극을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다룬 최인훈의 장편 소설. 철학과 학생이던 주인공 이명준이 월북 후 전쟁에 휩쓸려 포로가 되었다가 제3국으로 가던 중 자살하는 내용으로, 북한과 남한의 이데올로기 비판이 주인공의 회상적 이야기 전개 속에 펼쳐짐.
B.수라도(修羅道):김정한의 단편 소설. 애국 지사의 집안은 몰락하고 일제의 앞잡이는 오히려 치부하고 사는 부당한 현실을 고발한 작품
G.목넘이 마을의 개:황순원의 단편 소설. 떠돌이 개 신둥이를 통해 일제의 수탈과 압박에 시달리는 우리 민족을 그리고 생명력의 회복을 암시한 작품
M.꺼삐딴 리:전광용의 작품. 일제 때는 친일파, 해방 직후에는 친소파, 친미파로 시류에 순응하며 처세하는 이인국이라는 노예적 인간상을 통해 비극적인 현대사의 단면을 그려냄.
B.수라도(修羅道):김정한의 단편 소설. 애국 지사의 집안은 몰락하고 일제의 앞잡이는 오히려 치부하고 사는 부당한 현실을 고발한 작품
G.목넘이 마을의 개:황순원의 단편 소설. 떠돌이 개 신둥이를 통해 일제의 수탈과 압박에 시달리는 우리 민족을 그리고 생명력의 회복을 암시한 작품
M.꺼삐딴 리:전광용의 작품. 일제 때는 친일파, 해방 직후에는 친소파, 친미파로 시류에 순응하며 처세하는 이인국이라는 노예적 인간상을 통해 비극적인 현대사의 단면을 그려냄.
댓글 쓰기